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낭랑(朗朗)[의향소창가 35 페이지 / 전적]

빛이 매우 밝음.

낭랑(朗朗)[리행소챙가 13 페이지 / 전적]

소리가 매우 맑고 또랑또랑함.

낭랑(朗朗)[리행소챙가 22 페이지 / 전적]

빛이 매우 밝음.

낭랑(朗朗)[제주여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가 명랑한 모습.빛이 매우 밝음.

낭랑(朗朗)[회조가 20 페이지 / 전적]

소리가 명랑한 모습. 빛이 매우 밝음.

낭랑(朗朗)[자소가(소가) 2 페이지 / 전적]

소리가 명랑한 모습. 빛이 매우 밝음.

낭랑춘풍(朗朗春風)[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가 맑고 또랑또랑한 봄바람.

낭랑춘풍(朗朗春風)[의로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소리가 맑고 또랑또랑한 봄바람.

낭묘(廊廟)[송강집(松江集二)2 173 페이지 / 전적]

나라 정사를 하는 곳. 조정(朝廷).

낭묘(廊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76 페이지 / 전적]

「廊廟」―朝廷의 異稱임 文中子 禮樂에「在山澤 而有廊廟之志」라 하였음.

낭속(廊屬)[김씨효행가 37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사내종과 계집종을 아울러 이르던 말.

낭유(浪遊)[창덕가2 67 페이지 / 전적]

허망하게 떠돌며 놀기만 함.

낭유(浪遊)[창덕가2 68 페이지 / 전적]

허망하게 떠돌며 놀기만 함.

낭유(浪遊)[교훈가 13 페이지 / 전적]

하는 일 없이 빈둥빈둥 놂.

낭자[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여자의 예장(禮裝)에 쓰는 딴머리의 하나. 쪽 찐 머리 위에 덧대어 얹고 긴 비 녀를 꽂음.

낭자[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9 페이지 / 전적]

‘처녀’를 높이 부르는 말.

낭자[남여동락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의 예장(禮裝)에 쓰는 딴머리의 일종. 쪽 찐 머리 위에 덧대어 얹고 긴 비녀를 꽂음.

낭자[남여동락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의 예장(禮裝)에 쓰는 딴머리의 일종. 쪽 찐 머리 위에 덧대어 얹고 긴 비녀를 꽂음.

낭자[신힁가라 14 페이지 / 전적]

여자의 예장(禮裝)에 쓰는 딴머리의 하나. 쪽 찐 머리 위에 덧대어 얹고 긴 비녀를 꽂음. 쪽1(시집간 여자가 뒤통수에 땋아서 틀어 올려 비녀를 꽂은 머리털).

낭자(浪藉)[금강산유람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 저기 흩어져 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