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납월(臘月)[헌수가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섣달.

납월(臘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12월을 말함.

납월(臘月)이라[상사곡가사(상곡가사) 11 페이지 / 전적]

섣달이라.

납월납일(臘月臘日)[백발가 13 페이지 / 전적]

납월 - 섣달, 납일 -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

납입(納入)[갑지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불러들임.

납전 삼백(臘前三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0 페이지 / 전적]

「臘前三白」― 陶朱公書에 「臘前에 두 세번의 눈이 내리면 臘前의 三白이라 이른다」라 하였음 朝野僉載에 「西北人의 諺에「要宜麥 見三白」이란 것이 있음

납채(納采)[오륜가라 22 페이지 / 전적]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납채(納采)[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①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② 납폐(納幣).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채(納采)[가사소리 17 페이지 / 전적]

①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② 납폐(納幣).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보통 밤에 푸른 비단과 붉은 비단을 혼서와 함께 함에 넣어 신부 집으로 보낸다.

납채(納采)[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납채(納采)[오륜가라 17 페이지 / 전적]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납채(納采)[곽씨세덕가문니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신랑 집에서 신부 집에 혼인을 구함. 또는 그 의례.

납초(納招)[구쟉가 10 페이지 / 전적]

불러들여 살핌.

납평(臘平)[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1 페이지 / 전적]

납일(臘日). 동지 뒤의 셋째 미일(未日). 이 날 조정에서는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드렸음.

납폐(納幣[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납폐(納幣[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납폐(納幣[인여가(引轝歌) 11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납폐(納幣)[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9 페이지 / 전적]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내는 것.

납폐(納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납폐(納幣)[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2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할 때에, 사주단자의 교환이 끝난 후 정혼이 이루어진 증거로 신랑 집에서 신부 집으로 예물을 보냄. 또는 그 예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