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누(樓)[북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휴식을 취하거나 놀이를 하기 위해, 산이나 언덕, 물가 등에 높이 지은 다락집으로 주변의 풍광을 즐길 수 있도록 사방으로 트여 있음.
누각(樓閣)[자책가(가) 13 페이지 / 전적]
대각(臺閣). 사방을 바라볼 수 있게 문과 벽이 없이 높이 지은 다락집.
누각(樓閣)[셔유곡 3 페이지 / 전적]
사방을 바라볼 수 있도록 문과 벽이 없이 다락처럼 높이 지은 집.
누게맡겨[낙승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에게 맡겨.
누게맡겨[낙승연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에게 맡겨.
누공(屢空)[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08 페이지 / 전적]
「屢空」-貧乏하다는 말임。論語 先進篇에 「回也其庶乎 屢空」이란대문이 있는 데 자주 空匱함을 이른 것임。
누구 말 듣고 정승 삼아[녁대가(녁가) 21 페이지 / 전적]
제나라 환공이 포숙아(鮑叔牙)의 진언을 듣고 관중(管仲)을 재상으로 등용한 고사를 가리킴.
누길런고[긔수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일런고.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屢屢)[셔운가 4 페이지 / 전적]
누누이.말 따위를 여러 번 반복함.
누누이(屢屢/累累)[몽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번 자꾸.
누누이(屢屢/累累)[몽별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번 자꾸.
누대독자(累代獨子)[쳥츈상심곡(쳥츈심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여러 대에 걸쳐서 독자로 이어져 내려옴.
누덕(累德)[명륜가(明倫歌) 24 페이지 / 전적]
선행에 방해가 되는 악행.
누두월상(樓頭月上) 가련소(可憐宵)[팔도안희가 5 페이지 / 전적]
가면극의 한 대사로 “누 위에 달 떠오르니 불쌍토다.”는 뜻인데, 여인과 이진사의 사랑을 은유한 것이라 한다.
누런 구름[면앙정가(俛仰亭歌) 6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누렇게 익은 곡식을 비유함
누르하치[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9 페이지 / 전적]
중국 후금(後金)의 초대 황제(1559~1626). 여진족의 추장에서 칸(khan) 자리에 올라 후금이라 하였으며, 여진족을 통합하고 만주 문자를 제정하여 청나라 발전의 기틀을 세웠음.
누르하치[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8 페이지 / 전적]
중국 후금(後金)의 초대 황제(1559~1626). 여진족의 추장에서 칸(khan) 자리에 올라 후금이라 칭하였다. 여진족을 통합하고 만주 문자를 제정하여 청나라 발전의 기틀을 세웠다. 재위 기간은 1616~1626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