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누수(淚水)[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칠여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군산월애원가(군월원가) 11 페이지 / 전적]
눈물.
누수(淚水)[형졔분슈가 11 페이지 / 전적]
눈물.
누수(淚水)[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북쳔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셔유곡 21 페이지 / 전적]
흐르는 눈물.
누수(淚水)[운청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淚水)[북쳔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눈물.
누수(累囚)[무제(▩▩▩▩) 5 페이지 / 두루마리]
옥에 갇힘.
누수(累囚)[무제(▩▩▩▩) 5 페이지 / 두루마리]
옥에 갇힘.
누수가 압혈[형제붕우소회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누구가 앞을 막아.
누시(累時)[추월감 10 페이지 / 두루마리]
시간이 쌓임. 겹겹이 쌓인 시간. 같은 말로 누차(累次)가 있음.
누심잇까[환무자탄가 19 페이지 / 전적]
누구십니까.
누안(淚眼)[환무자탄가 13 페이지 / 전적]
눈물을 흘림.
누에섶[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3 페이지 / 전적]
잠족(蠶蔟). 누에가 고치를 짓도록 마련한 섶.
누역[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7 페이지 / 전적]
도롱이. 짚·띠 따위로 엮어 허리나 어깨에 걸쳐 두르는 우장(雨裝). 녹사의(綠簑衣).
누예[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88 페이지 / 전적]
「蠶頭」― 山形의 上尖를 말함. 古代의 蠶蔟이 上尖下寬하므로 蠶山의 稱이 나온 것임
누운 소[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와우형(臥牛形).즉 소가 누운 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