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단양이(段楊爾)[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1 페이지 / 전적]
백제의 학자. 무령왕 13년(513)에 일본의 초청을 받고 도일(渡日)하여, 유학을 가르치고 돌아왔다.
단양절[츄억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단오절.
단양절(端陽節)[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단오절(端午節)이라고 하며,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에 단오떡을 해 먹으며,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하는 풍속이 있음.
단오(端午)[과부가(寡婦歌) 3 페이지 / 전적]
중오(重五). 천중절(天中節).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씨름․탈춤․그네뛰기․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음.
단오(端午)[관등가(觀燈歌) 3 페이지 / 전적]
중오(重五). 천중절(天中節).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씨름․탈춤․그네뛰기․가면 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음.
단오(端午)[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4 페이지 / 전적]
음력 5월 5일로,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단오(端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단오(端午)[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 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단오(端午)[이별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오(重五). 천중절(天中節).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씨름․탈춤․그네뛰기․가면극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음.
단오(端午)[환무자탄가 29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명절로 음력 5월 5일이 해당한다. 이때 그네뛰기나 씨름, 탈춤, 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다.
단오일(端午日)[사친가1(思親歌(一)) 5 페이지 / 전적]
오월 단오 날. 단오(端午) : 중오(重五). 천중절(天中節).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씨름․탈춤․그네뛰기․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음.
단오일(端午日)[이별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오월 단오 날. 중오(重五). 천중절(天中節).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씨름․탈춤․그네뛰기․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음.
단오일(端午日)[낙향이별가 6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명절 중 하나로 음력 5월 5일이다. 단오일에는 단오떡을 해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단오절(端午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5월 5일, 수릿날이라고도 함.
단오절(端午節)[남여동락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5월 5일, 수릿날이라고도 함.
단오절(端午節)[복션화음이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나라 명절의 하나. 음력 5월 5일로, 그네뛰기나 씨름, 탈춤, 가면극 등의 놀이를 즐기며, 여자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다.
단오절(端午節)[허후전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단오를 명절로 이르는 말로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 단오떡을 해먹고 여자는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를 뛰며 남자는 씨름을 한다.
단우(丹愚)[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4 페이지 / 두루마리]
자신의 성의(誠意)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단이되고[복션화음록 11 페이지 / 전적]
열 냥이 되고. ‘단’은 사물 열 개를 한 묶음으로 세는 단위.
단인(端人)[삼강오륜가 서 12 페이지 / 전적]
단정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