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단단명월 (團團明月)[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2 페이지 / 전적]
크고 둥근 빛나는 달.
단단명월 (團團明月)[타미계라(라미키라) 10 페이지 / 전적]
크고 둥근 빛나는 달.
단단명월 (團團明月)[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2 페이지 / 전적]
크고 둥근 빛나는 달.
단독병(丹毒病)[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적유풍(赤遊風). 헌 데나 다친 곳이 감염되어 살이 붉어지고 부으며 아픈 병.
단독병(丹毒病)[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적유풍(赤遊風). 헌 데나 다친 곳이 감염되어 살이 붉어지고 부으며 아픈 병.
단독병(丹毒病)[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적유풍(赤遊風). 헌 데나 다친 곳이 감염되어 살이 붉어지고 부으며 아픈 병.
단독일신(單獨一身)[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3 페이지 / 전적]
가족이나 친척이 없는 홀몸.
단독일신(單獨一身)[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가족이나 친척이 없는 홀몸.
단란(團欒)[셔유곡 21 페이지 / 전적]
한 가족의 생활이 원만하고 즐거움.
단로(鍛爐)[송강집(松江集一)1 71 페이지 / 전적]
진(晋)나라 사람 해강(稽康)이 산양현(山陽縣)에서 단로(鍛爐)의 생활을 했으므로 빌려 쓴 것임
단룡(團龍)[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19 페이지 / 전적]
團龍」―龍團의 倒稱인데 茶의 이름임。石林燕語에 「建州歲貢大龍鳳團茶 仁宗時 蔡君謨擇茶之精者 爲小龍團十斤以獻」이라 했는데、龍團이라 이름한 것은 製茶할 적에 圓餠모양으로 만들어、그 위에 龍鳳의 紋을 찍었기 때문임。
단만 망녕(妄靈)[복션화음록 7 페이지 / 전적]
다만 망녕뿐이로다.
단망(斷望)[소상팔경가 11 페이지 / 전적]
희망이 끊어짐.
단매일지(丹消一枝)[사친곡 9 페이지 / 전적]
빙자옥질(맑고 깨끗한 자질), 아치고절(아담한 풍치와 높은 절개)의 매화 속성과 같은 정성스러운 마음.
단명(丹蓂)[사친곡 3 페이지 / 전적]
약초. 달력풀이라고도 함. 요(堯)임금 때 났다는 전설상의 풀, 초하룻날부터 보름까지 는 매일 한 잎씩 났다가 이후 그믐까지는 한 잎씩 떨어졌다고 하여 ‘달력풀’ 이라 일컬었다고 함.
단목(檀木)[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박달나무. 자작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단목(端木)[석천집(石川集二-一)2-1 34 페이지 / 전적]
孔子의 제자 子貢의 姓이니 孔子가 작고하자 삼년상을 치른 뒤에 다시 墓場에 집을 짓고 삼년을 더 살고 갔다
단목하(檀木下)[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박달나무 아래.
단목하(檀木下)[조심가라 13 페이지 / 전적]
박달나무 아래.
단묘(端妙)[호남비결(湖南秘訣) 6 페이지 / 전적]
단정하고 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