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단군(檀君)[추월감 4 페이지 / 두루마리]
우리 민족의 시조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
단군(檀君)[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 환웅(桓雄)의 아들. 기원 전 24세기 경(頃) 아사달에 도읍하여 단군 조선(朝鮮)을 건국했음.
단군(檀君)[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한국(韓國)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환웅의 아들.일종(一種)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紀元前) 24세기(世紀) 경(頃) 아사달에 도읍(都邑)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建國)하였다 함.한국(韓國) 민족(民族)의 조상(祖上)으로 신봉(信奉)되고 있음.환인(桓因)ㆍ환웅(桓雄)과 함께 삼신(三神)의 하나로 추앙(推仰)됨.단군(檀君) 왕검.
단군(檀君)[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한국(韓國)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환웅의 아들.일종(一種)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紀元前) 24세기(世紀) 경(頃) 아사달에 도읍(都邑)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建國)하였다 함.한국(韓國) 민족(民族)의 조상(祖上)으로 신봉(信奉)되고 있음.환인(桓因)ㆍ환웅(桓雄)과 함께 삼신(三神)의 하나로 추앙(推仰)됨.단군(檀君) 왕검.
단군(檀君)[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한국(韓國)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환웅의 아들.일종(一種)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紀元前) 24세기(世紀) 경(頃) 아사달에 도읍(都邑)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建國)하였다 함.한국(韓國) 민족(民族)의 조상(祖上)으로 신봉(信奉)되고 있음.환인(桓因)ㆍ환웅(桓雄)과 함께 삼신(三神)의 하나로 추앙(推仰)됨.단군(檀君) 왕검.
단군(檀君)[대호지로가(호지로가) 13 페이지 / 전적]
한국(韓國)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환웅의 아들.일종(一種)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紀元前) 24세기(世紀) 경(頃) 아사달에 도읍(都邑)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建國)하였다 함.한국(韓國) 민족(民族)의 조상(祖上)으로 신봉(信奉)되고 있음.환인(桓因)ㆍ환웅(桓雄)과 함께 삼신(三神)의 하나로 추앙(推仰)됨.단군(檀君) 왕검.
단군(檀君)[오황불이 2 페이지 / 전적]
한국(韓國)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환웅의 아들.일종(一種)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紀元前) 24세기(世紀) 경(頃) 아사달에 도읍(都邑)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建國)하였다 함.한국(韓國) 민족(民族)의 조상(祖上)으로 신봉(信奉)되고 있음.환인(桓因)ㆍ환웅(桓雄)과 함께 삼신(三神)의 하나로 추앙(推仰)됨.단군(檀君) 왕검.
단군(檀君)[춘몽가(츈몽가) 20 페이지 / 전적]
은나라가 망한 후 고조선에 망명하여 세웠다고 하는 나라인 기자조선의 건국자.
단군(檀君)[춘몽가(츈몽가) 20 페이지 / 전적]
우리 민족의 시조이자 고조선(古朝鮮
단군(檀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한국의 국조(國祖)로 받드는 태초의 임금. 환웅의 아들. 일종의 개국신(開國神)으로, 기원전 24세기 경 아사달에 도읍하여 단군(檀君) 조선(朝鮮)을 건국하였다 함
단귀(短晷)[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30 페이지 / 전적]
짧은 해.
단기(單騎)[오륜가라 27 페이지 / 전적]
혼자서 말을 타고 감. 또는 그 사람.
단기(單騎)[오륜가라 27 페이지 / 전적]
혼자서 말을 타고 감. 또는 그 사람.
단기(斷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6 페이지 / 전적]
「斷機」- 孟子의 어머니가 세번을 이사하여 사는데 孟子가 배우고 돌아오므로 어머니를 學의 所至를 물으니 孟子는 별로 진보가 없었다.孟母는 칼로 베틀을 끊으며 말하기를 「네가 學을폐하는 것은 내가 機織 을 끊는 것과 같다」하였다.孟子는 두려워하여 쉬지 않고 勤學하여 마침내 名儒를 이뤘다.
단기4280년[삼팔가(三八歌) 1 페이지 / 전적]
서기 1947년.
단노[남산동이진사효행록(남동이진효횡녹) 7 페이지 / 전적]
한 사람의 노비.
단니모아 짝니로다[효봉구고치산가 12 페이지 / 전적]
단을 모아 짝이다. ‘짝’은 소바리 말바리 등을 세는 단위. 한 바리 두 바리의 뜻.
단단 적적(端端的的)[권왕가 21 페이지 / 전적]
단적(端的)을 강조한 말. 단적(端的) : 곧바르고 명백한 것. 단단(端端) : 각각 올바른 모양. 적적(的的) : 명백한 모양.
단단뇌약[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단단내약(斷斷內約). 빈틈이 없는 깊은 약속.
단단명월 (團團明月)[타미계라(라미키라) 10 페이지 / 전적]
크고 둥근 빛나는 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