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단문(短文)[츅친서라 14 페이지 / 전적]
짧은 글.
단문(短文)[심심가(尋心歌) 63 페이지 / 전적]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함.
단문(短文)[심심가(尋心歌) 63 페이지 / 전적]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함.
단문(短文)[답사향곡(답향곡) 9 페이지 / 전적]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함.
단문(短文)[말이타국원별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짧은 글.
단문소치(短文召致)[리행소챙가 49 페이지 / 전적]
상대를 초청하기 위한 짧은 문장.
단문졸필(短文卒筆)[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해 서투르고 보잘것없는 글.
단문졸필(短文卒筆)[헌수가라 16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해 서투르고 보잘것없는 글.
단문졸필(短文拙筆)[회경가 17 페이지 / 전적]
글을 아는 것이 넉넉지 못하고, 글씨를 잘 쓰지 못하는 것을 뜻함
단문졸필(短文拙筆)[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단문은 글을 아는 것이 넉넉지 못하다는 뜻이며, 졸필은 글씨나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 또는 자기가 쓴 글씨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단문졸필(短文拙筆)[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단문은 글을 아는 것이 넉넉지 못하다는 뜻이며, 졸필은 글씨나 글을 잘 쓰지 못하는 사람 또는 자기가 쓴 글씨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단발령(斷髮令)[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9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32년(1895) 11월에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상투 풍속을 없애고 머리를 짧게 깎도록 한 명령. 이를 계기로 의병 활동이 확산되었다.
단발령(斷髮嶺)[금강산유람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강원도 김화군과 회양군 사이에 있는 고개. 신라의 왕자 혹은 고려의 태조가 이 고개에서 머리를 깎고 중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음. 높이는 834미터.
단발영(斷髮嶺(令))[문슈동소챵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단발령은 김홍집내각이 1895년 고종 32년 11월 성년남자의 상투를 자르도록 내린 명령으로 고종의 명령이지만 일본의 강요에 의한 명령이었다.
단방(單房)[백발가(白髮歌) 6 페이지 / 전적]
하나뿐인 방.
단봉(丹峯)[츄풍간별곡 차(츄풍간별곡 ) 3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모란봉[牡丹峯]을 줄여서 부른 말.
단봉(丹峯)[차운 5 페이지 / 전적]
평양의 모란봉(牡丹峯)을 줄여서 부른 말.
단봉(丹峰)[추풍감별곡(秋風感別曲) 1 페이지 / 두루마리]
모란봉.
단봉(丹峰)[추풍감곡(秋風感曲) 3 페이지 / 전적]
평야 북쪽에 있는 작은 산인 모란봉을 말함.
단봉(丹鳳)[석천집(石川集二-三)2-3 125 페이지 / 전적]
새 이름. 난(鸞)새의 일종, 머리와 날개가 붉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