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단봉(丹鳳)[벌교사(벌교) 9 페이지 / 전적]

목과 날개가 붉은 봉황.

단봉(單峯)[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우뚝 솟은 산봉우리

단사[석천집(石川集二-五)2-5 69 페이지 / 전적]

여기서 단사는 잘 익은 감을 지칭한 듯.

단사(丹砂)[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91 페이지 / 전적]

「丹砂」―바로 硃砂인데 仙方의 益年劑로서 葛雅川의 愛用物임.杜甫詩에 「秋來相顧尙飄蓬 未就丹砂愧葛洪」이란 글구가 있음.

단사(丹砂)[석천집(石川集二-三)2-3 32 페이지 / 전적]

수은(水銀)과 유황(硫黃)이 합하여 된 붉은 빛갈의 흙.

단사(丹砂)[석천집(石川集二-四)2-4 14 페이지 / 전적]

수은과 유황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광물질, 道家들이 丹藥의 재료로 썼다고 함.

단사(丹紗)[봉션화가 4 페이지 / 전적]

붉은 비단.

단사(彖辭)[해몽가라(몽가라) 10 페이지 / 전적]

주역의 64괘를 해설하는 글. 괘사(卦辭)라고도 함.

단사(端士)[옥산가라 21 페이지 / 전적]

품행이 단정한 선비.

단사(端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4 페이지 / 전적]

끝과 결론을 뜻함.

단사원촌[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33 페이지 / 전적]

단사에 사는 먼친척 원촌(遠寸). 단사는 지명.

단사졸필(短辭卒筆)[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해 서투른 글.

단사졸필(短辭卒筆)[헌수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글을 아는 것이 넉넉하지 못해 서투른 글.

단사표음(簞食瓢飮)[잣치가라(치라) 10 페이지 / 전적]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단사표음(簞食瓢飮), 간난(艱難)[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7 페이지 / 전적]

일단사 일표음(一簞食一瓢飮). 도시락에 담은 밥과 표주박의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의 비유, 몹시 힘들고 고생이 되는 것.

단사호장(簞食壺醬)[흥기도덕가(興起道德歌) 31 페이지 / 전적]

검소한 밥과 단지 안에 든 간장.

단사호치[초원동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단순호치(丹脣皓齒)의 오기. 단순호치(丹脣皓齒)는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단사호치[초원동낙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단순호치(丹脣皓齒)의 오기. 단순호치(丹脣皓齒)는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단산(丹山) 추야월(秋夜月)[옥셜화답 11 페이지 / 전적]

산에 붉은 단풍이 든 가을 밤의 달빛.

단산(斷産)[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여자가 아이를 낳지 못하게 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