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당상(堂上)[슈절자탄가 17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둔, 정삼품 상(上) 이상의 품계에 해당하는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

당상(堂上)[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정삼품 상(上) 이상의 품계에 해당하는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문관은 통정대부, 무관은 절충장군, 종친은 명선대부, 의빈(儀賓)은 봉순대부 이상이 이에 해당함.

당상(堂上)[답사향곡(답향곡) 8 페이지 / 전적]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상(堂上)[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8 페이지 / 전적]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대청 위를 말함. 조선 시대에 정3품의 벼슬을 가리키기도 함.

당상(堂上)[유회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대청 위.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당상(堂上)[자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마루 위에 올라.

당상(堂上)[신힁가라 26 페이지 / 전적]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상(堂上)[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당상(堂上)[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당상(堂上)[김씨효행가 23 페이지 / 두루마리]

조선 시대에 둔, 정삼품 상(上) 이상의 품계에 해당하는 벼슬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문관은 통정대부, 무관은 절충장군, 종친은 명선대부, 의빈(儀賓)은 봉순대부 이상이 이에 해당함.

당상(堂上)[오륜가라 23 페이지 / 전적]

대청 위.

당상(堂上)[가사소리 23 페이지 / 전적]

대청 위.

당상관(堂上官)[비틀노래 3 페이지 / 두루마리]

당상(堂上)의 벼슬아치를 이르던 말.

당상관(堂上官)[호남비결(湖南秘訣) 6 페이지 / 전적]

당상의 품계에 있는 벼슬아치.

당상관(堂上官)[허후전가라 11 페이지 / 두루마리]

당상의 품계에 있는 벼슬아치.

당상관(堂上官)[조선국퇴정문수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문관은 정삼품 명선대부(明善大夫)·봉순대부(奉順大夫)·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 무관은 정삼품 절충장군(折衝將軍장군) 이상의 벼슬 계제(階梯).

당상백발(堂上白髮)[오윤가 13 페이지 / 전적]

당상은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하며, 여기서는 부모님의 백발을 뜻함.

당상학발(堂上鶴髮)[명륜가(明倫歌) 28 페이지 / 전적]

당상(堂上)은 조부모나 부모가 거처하는 곳, 또는 집의 일부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므로 ‘부모님의 흰머리’를 가리킴.

당상학발(堂上鶴髮)[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가 하얗게 센 부모님. 당상(堂上)은 부모님이 거처하시는 곳을 뜻하고, 학발(鶴髮)은 학처럼 흰 머리를 뜻함.

당상학발(堂上鶴髮)[헌수가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가 하얗게 센 부모님. 당상(堂上)은 부모님이 거처하시는 곳을 뜻하고, 학발(鶴髮)은 학처럼 흰 머리를 뜻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