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당음(棠陰)[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7 페이지 / 전적]

「棠陰」-監司의 宣化堂을 말함 詩經召南 甘棠에서 나온 말임.

당음장편(唐音長篇)[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당음과 장편.당(唐)나라 때의 잘 지은 시를 뽑은 책과 제한 없이 긴 고시체의 시.

당음장편(唐音長篇)[춘몽가(츈몽가) 9 페이지 / 전적]

당음과 장편.당(唐)나라 때의 잘 지은 시를 뽑은 책과 제한 없이 긴 고시체의 시.

당의(唐衣)[노졍긔 14 페이지 / 전적]

여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한복의 하나. 앞길과 뒷길이 저고리보다 길고 도련은 둥근 곡선으로 되어 있으며 옆은 진동선 아랫부분이 트여 있음.

당의(唐衣)[노졍긔 14 페이지 / 전적]

여자들이 저고리 위에 덧입는 한복의 하나. 앞길과 뒷길이 저고리보다 길고 도련은 둥근 곡선으로 되어 있으며 옆은 진동선 아랫부분이 트여 있음.

당인[팔역가(八域歌) 27 페이지 / 전적]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술사

당일행(唐一行)[막소가(莫笑歌) 10 페이지 / 전적]

당나라 시대의 밀교(密敎) 승려이자 천문학자로 유명했던 일행(一行)을 일컫는 것으로 그는 경사(經史)와 역상(歷象), 음양오행의 학문에 정통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자(當者)[신힁가라 1 페이지 / 전적]

당사자(어떤 일이나 사건에 직접 관계가 있거나 관계한 사람).

당장[팔역가(八域歌) 47 페이지 / 전적]

명나라 장수

당쟁(黨爭)[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당파를 이루어 서로 싸우던 일.

당적(當敵)[이회심곡(二回心曲) 4 페이지 / 전적]

적을 대함.

당전(黨戰)[가사소리 8 페이지 / 전적]

당내 분파 사이, 혹은 당과 당 사이의 싸움.

당정자(棠井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8 페이지 / 전적]

「棠井子」―未詳 待考.

당조(堂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9 페이지 / 전적]

「堂阼」-主階임 예전에 현賓主가 相見할 때는 賓은 西階로, 主는 東階로붙터 함。또 임금의 位를 阼라 이름。

당종(唐宗)의 극복지지(克復之志)[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6 페이지 / 전적]

당종은 당 현종(玄宗)을 이름. 현종은 예종(睿宗)의 셋째 아들로서 중종(中宗)의 왕후인 위씨(韋氏)가 중종을 살해하고 소제(少帝)를 왕위에 올리는 난을 일으키자, 이에 남모르게 왕실을 회복시킬 것을 꾀하여 병을 일으켜 위씨를 죽이고 아버지 예종을 받들어 즉위시켰다. 극복지지는 이처럼 나라를 다시 일으키겠다는 의지를 이르는 말.

당주지(唐周紙)[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당지(唐紙)를 길게 이어 둥글게 만 종이).

당주지(唐周紙)[타미계라(라미키라) 3 페이지 / 전적]

당지(唐紙)를 길게 이어 둥글게 만 종이).

당지의게[신행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해독 불가.

당초(當初)[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7 페이지 / 전적]

일이 생기기 시작한 처음에.

당초(當初)[북쳔가 19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의 맨 처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