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당혜(唐鞋)[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었음.

당혜(唐鞋)[남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었음.

당혜(唐鞋)[동상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었음.

당혜(唐鞋)[신힁가라 1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음.

당혜(唐鞋)[허후전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으로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모두 신었다.

당혜(唐鞋)[오륜가라 3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었다.

당혜(唐鞋)[가사소리 34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사용하던 울이 깊고 앞 코가 작은 가죽신. 흔히 앞 코와 뒤꿈치 부분에 꼬부라진 눈을 붙이고 그 위에 덩굴무늬를 새긴 것으로, 남녀가 다 신었다.

당혼(當婚)[조선충효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할 나이가 됨.

당홍(唐紅)[당산조션가 7 페이지 / 전적]

자줏빛을 띤 붉은 물감.

당홍대단(唐紅大緞[자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에서 나는 자줏빛을 띤 붉은 물감으로 만든 비단.

당화거든[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하거든. 만나거든.

당화기(唐畵器)[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5 페이지 / 전적]

그림을 그려넣은 중국식 사기그릇.

당황(唐慌)[당산조션가 8 페이지 / 전적]

놀라거나 다급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당횟거든[소동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했거든. 되었거든.

당후(當厚)[효행가(孝行歌) 6 페이지 / 전적]

마땅히 후함.

당고리[용문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당산(堂山)골이.

당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7 페이지 / 전적]

당석(當席)이. 그 자리가.

[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94 페이지 / 전적]

「綵絲」- 漢 建武中에 長沙에서 白晝에 한 老人이 나타나 三閭大夫라 自稱하며 말하기를, 「그대들 나를 위해 祭를 說해주니대단 고마우나 다만 보내준 그 물건이 蛟龍의 먹이로 되고마니 지금 施惠할 생각이 있으면 棟樹葉을 때서 竹筒을 막고 五色絲로 이를 묶어 띠워주면 좋겠다 蛟龍이 이것을 두려워 하기때문이다」라 하였음.

대 안도(戴安道)[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6 페이지 / 전적]

訪戴」 ― 戴安道의 이름은 逵요 晋人으로 剡縣에 徙居하였는데이때에 王子猷가 山陰에 살았다. 하루는 夜雪이 처음 개어 月色이 淸朗함을 보고, 호을로 술을 마시며 左思의 招隱詩를 읊다가, 갑자기 戴逵가 剡에 있음을 기억하고 곧장 小船을 타고찾아가, 그 문에 이르러 들어가지 아니하고 돌아서면서 「본시乘興하여 왔는데 어찌 꼭 戴安道를 보아야만 하느냐」라 하였음.

대(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75 페이지 / 전적]

「訪戴」―晋 王子猷가 雪月良夜에 戴安道를 찾아간 故事를 引用한 것임 위에 나타나있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