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대(隊)[청춘사연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무리.

대가(大家)[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9 페이지 / 전적]

①거장(巨匠).전문(專門) 분야(分野)에 조예(造詣)가 깊은 사람②대대(代代)로 번영(繁榮)한 집안, 거가대족(巨家大族) ③큰 집, 대방가(大方家).

대가(大家)[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①거장(巨匠).전문(專門) 분야(分野)에 조예(造詣)가 깊은 사람②대대(代代)로 번영(繁榮)한 집안, 거가대족(巨家大族) ③큰 집, 대방가(大方家).

대가(大駕)[송강집(松江集一)1 132 페이지 / 전적]

임금의 행차.

대가야(大伽倻)[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5 페이지 / 전적]

육가야(六伽倻) 가운데 지금의 경상북도 고령 지방에 있던 부족 국가(42~562). 한때 육 가야의 맹주(盟主)였으나 신라에 멸망하였다.

대가파천(大駕播遷)[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임금이 전쟁이나 난(亂)을 피하기 위하여 서울을 떠나 다른 곳으로 가는 것을 말한다.

대각(大覺)[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도를 닦아 크게 깨달음.

대각(大覺)[셩경가 8 페이지 / 전적]

도를 닦아 크게 깨달음.

대각(大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9 페이지 / 전적]

고려시대의 중(1055~1101)으로 이름은 후(煦), 자는 의천(義天)이다. 중국 송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천태종을 열었으며,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세우고

대각(臺閣)[송강집(松江集四)4 80 페이지 / 전적]

대(臺)는 벽이 없는 다락집, 각(閣)은 고전(高殿)으로 고위의 관리가 정사(政事)를 보살피는 곳을 이름

대각臺閣[ 1 페이지 / ]

누각, 또는 대와 누각

대각국사(大覺國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3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의 중(1055~1101)으로 이름은 후(煦), 자는 의천(義天)이다. 중국 송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천태종을 열었으며,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세우고

대간(臺諫)[송강집(松江集五)5 46 페이지 / 전적]

송(宋)나라 때 어사대(御史臺)는 간관(諫官)을 겸임할 수 있으므로 대간(臺 諫)이라 함.

대간룡(大幹龍) 가는 맥(脉)[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1 페이지 / 전적]

큰 산 줄기가 뻗쳐 나옴.

대강(大江)[백세보중(百世葆重 二-一)2-1 29 페이지 / 전적]

혹 청천강의 지류로서 평안북도 삭주․창성․영변․박천 등을 흐르는 대령강(大寧江- 혹은 大定江이라고도 함)을 가리키는 것 아닌가 싶지만 정확치는 않다. 옛날에는 진강(鎭江)․개사강(蓋泗江) 또는 박천강(博川江)으로도 불렸다 한다. 또는 압록강을 이르는 것일 수도 있다

대강(大綱)[자탄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하지 않고 기본적인 부분만을 따 낸 줄거리.

대강(大綱)[추월감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하지 않고 기본적인 부분만을 따 낸 줄거리.

대강(大綱)[황젼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하지 않게 기본적인 부분만 들어 보이는 정도.

대강(大綱)[충효가(忠孝歌) 11 페이지 / 전적]

대략.

대강(大綱)[경노의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자세하지 않고 기본적인 정도.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