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당상학발(堂上鶴髮)[사향곡(향곡) 4 페이지 / 전적]

학의 머리처럼 머리가 흰 늙은 부모님

당상학발(堂上鶴髮)[해주졍씨목친가(주졍씨목친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가 하얗게 센 부모님이 대청마루 위에 앉아 계심.

당석(當席)[여행록이라(여녹이라) 5 페이지 / 전적]

그 좌석(座席).그 자리.

당송지세(唐宋之世)[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당나라와 송나라 때를 후천으로 봄.

당송지세(唐宋之世)[경화가(警和歌) 16 페이지 / 전적]

당나라와 송나라 때를 후천으로 봄.

당숙종반(堂叔宗班)[당산조션가 4 페이지 / 전적]

오촌으로부터 모든 일가와 겨레붙이.

당순(當循)[사친가(事親歌) 36 페이지 / 전적]

마땅히 좇는 것.

당순(當循)[자직가(子職歌) 1 페이지 / 전적]

마땅히 좇는 것.

당실(堂室)[어와따님요(어와님요) 4 페이지 / 전적]

한 울타리 안에 있는 여러 채의 집과 방.

당악(棠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8 페이지 / 전적]

「棠岳」―全羅道 海南郡의 舊號임。

당악(棠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9 페이지 / 전적]

「棠岳」―全羅道 海南의 古號

당에려 인니[역대가라(역가라) 7 페이지 / 전적]

천자의 권위와 절차대로 왕위를 승계하지 못했다는 말이다.

당요(唐堯)[석천집(石川集二-三)2-3 122 페이지 / 전적]

요(堯) 임금을 말함. 전설상의 성제(聖帝).

당요(唐堯)[녁대가(녁가) 13 페이지 / 전적]

요임금을 가리킴.

당요(唐堯)[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 페이지 / 전적]

중국(中國)의 요가 도당씨(陶唐氏)이기 때문에 이르는 말.

당요(塘坳)[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7 페이지 / 전적]

「塘坳」- 작은 물을 받아들이는 窪地임. 浩虛丹 盆池賦에「方行潦而不濁 比塘坳而則深」이라 하였음.

당요민(唐堯民)[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요임금 때의 백성을 뜻하며, 요임금을 당요(唐堯)라 부른다.

당요민(唐堯民)[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요임금 때의 백성을 뜻하며, 요임금을 당요(唐堯)라 부른다.

당요우순(唐堯虞舜 )[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적인 성군인 요(堯)와 순(舜)을 말함. 요임금은 당(唐) 또는 도당씨(陶唐氏)라고 하며, 순임금은 우(虞) 또는 유우씨(有虞氏)라고도 함.

당요우순(唐堯虞舜 )[경화가(警和歌) 10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전설적인 성군인 요(堯)와 순(舜)을 말함. 요임금은 당(唐) 또는 도당씨(陶唐氏)라고 하며, 순임금은 우(虞) 또는 유우씨(有虞氏)라고도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