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당케되면[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당하게 되면.
당케되면[팔도가 3 페이지 / 전적]
당하게 되면.
당태종(唐太宗)[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가리킨다.
당태종(唐太宗)[권농가(권롱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당나라 태종 이세민(李世民)을 가리킨다.
당태종(唐太宗)[한양가라 13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제2대 황제인 이세민(李世民)을 말한다. 제도의 정비를 통해 내정을 확립하였으며, 외국을 정벌하는 등 당나라의 기초를 든든하게 닦았다.
당태종(唐太宗)[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파랑, 노랑, 빨강,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 색으로 칠한 단청.
당태종(唐太宗)[춘몽가(츈몽가) 12 페이지 / 전적]
당 태종 이세민(李世民)은 중국 당나라의 제2대 황제이며 당 고조 이연의 차남.이름인 '세민'의 본래 뜻은 제세안민(濟世安民), 즉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케 하라는 뜻.그는 실제로 뛰어난 장군이자, 정치가, 전략가, 그리고 서예가이기까지 했으며, 중국 역대 황제 중 최고의 성군으로 불리어 청나라의 강희제와도 줄곧 비교됨.그가 다스린 시대를 정관의 치라 함.
당태종(唐太宗) 송태조(宋太祖)[경술가 7 페이지 / 전적]
당(唐) 태종(太宗) 이세민과 송(宋) 태조(太宗) 조광윤이 태어난 해.
당품(當品)[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2 페이지 / 전적]
종이품 벼슬아치를 정이품 또는 종이품에 해당하는 벼슬에, 정삼품 벼슬아치를 종이품 또는 정삼품에 해당하는 벼슬에 임명하던 일.
당품(當品)[로인가 12 페이지 / 전적]
조선 시대에, 종이품 벼슬아치를 정이품 또는 종이품에 해당하는 벼슬에, 정삼품 벼슬아치를 종이품 또는 정삼품에 해당하는 벼슬에 임명하던 일.
당풍을[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50 페이지 / 전적]
「唐風」- 唐은 나라 이름인데 본시 帝堯의 舊都로 禹貢 冀州의城, 太行恒山의 西에 있음. 그 지역이 土瘠民貧하여 勤儉質朴하고 憂深思遠하여 堯의 遺風이 있다 하였음.
당하(堂下)[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1 페이지 / 전적]
당하의 품계에 있는 벼슬.
당하(堂下)[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41 페이지 / 전적]
대청 아래.
당하여도[츅친서라 11 페이지 / 전적]
맞이하여도
당하여서[츅친서라 6 페이지 / 전적]
맞이하여
당하여서[츅친서라 9 페이지 / 전적]
맞이하여서.
당하여서[츅친서라 11 페이지 / 전적]
맞이하여서.
당하여서[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맞아서.
당행(當行)[교훈가 11 페이지 / 전적]
마땅히 행하여짐.
당헤거던[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일을 당하다의 뜻으로, 여기서는 ‘좋지 않은 일을 있었지만’의 뜻으로 이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