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거(逃去)[칠석가 5 페이지 / 전적]

도망하여 물러감.

도계(到界)[민탄가(民歎歌) 5 페이지 / 전적]

조선시대에 감사(監司)가 임지에 부임하던 일. 여기서는 도계전(到界錢)의 의미인 듯함.

도광(道光)[거창가라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청나라 선종 때의 연호(1821∼1850).

도광(道光)[아림가(娥林歌) 11 페이지 / 전적]

중국 청나라 선종 때의 연호(1821∼1850).

도광삼칠(道光三七)[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도광(道光)은 청나라 선종(宣宗)의 연호.

도광삼칠(道光三七)[거창가 4 페이지 / 전적]

도광(道光)은 청나라 선종(宣宗)의 연호.

도구[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37 페이지 / 전적]

춘추 시대 노 나라에 있는 땅 이름으로 노 은공 (魯隱公)이 숨어 살았던 곳이다.《春秋左傳 隱公十一》

도궁(途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93 페이지 / 전적]

「途窮」-院籍의 窮途哭을 말한 것인데 위에 보임.

도규(刀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36 페이지 / 전적]

「刀圭」-藥物에 대한 量의 이름임. 本草綱目序例에 『무릇 散藥할 때 刀圭라 稱한 것은 方寸의 藥匙를 十分한 하나로서 크기가 梧桐열매와 같이 準한다. 方寸匙란 正方 一寸으로 匙를 만들어 抄散에 있어 不落을 度를 삼는다』라 하였다.

도기(道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37 페이지 / 전적]

易 繫辭傳에「形而上을 道라 이르고 形而下를 噐라한다」하였는데 道는 理로써 太極을 가리키고 噐는 氣로 陰陽을 가리킨 것임.

도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69 페이지 / 전적]

「爛柯」―山名인데 石室이라고도 함.述異記에 『晋王質入山採樵見二童子對奕童子與質一物 加棗核 食之不飢 局終童子指示曰「汝柯爛矣」質歸鄕里 己及百歲』라 하였음.山 이름도 이때문에 지어진 것임.

도끼[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63 페이지 / 전적]

「杖鉞」―大斧인데 大將이 皇帝로부터 내린 鉞을 받아야 生殺을 專擅할 수 있음. 杜甫의 北征詩에「桓桓陳將軍 杖鉞奮忠烈」이란 句가 있음.

도끼자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6 페이지 / 전적]

「伐柯」― 詩經 豳風 伐柯에「伐柯伐柯其則不遠」이라는 句가 있는데 그 註에「言伐柯而有斧 則不過卽此舊斧之柯 而得其新柯之法」이라하였음.

도끼자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3 페이지 / 전적]

「爛柯」―晋 王質이 石室山에 들어가 採樵를 하다가 두 仙童 바둑두는 것을 보고서 구경하여 한판이 끝나니 도끼자루는 이미 삭아버리고 집에 돌아오니 五代孫이 생겨났다 하였음. 述異記에보임.

도남(圖南)[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6 페이지 / 전적]

「圖南鵬」 ― 莊子 逍遙遊에 보이는 南溟의 鵬을 말한 것임. 위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

도내(道內)[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는 ‘경상도 안에’라는 뜻.

도내(道內)[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여기서는 ‘경상도 안에’라는 뜻.

도노(陶老)[화전가1 10 페이지 / 전적]

남북조시대 梁武帝 때의 도홍경(陶弘景)으로 보임.

도노(陶老)[화전가2 10 페이지 / 전적]

남북조시대 梁武帝 때의 도홍경(陶弘景)으로 보임.

도당(陶唐)[옥셜화답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요 임금을 가리키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