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도덕군자(道德君子)[경화가(警和歌) 18 페이지 / 전적]
군자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많이 써 온 말로써, 학식과 덕이 높고 행실이 어진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여겼음. 동양화에서 대나무의 고결함과 청결함을 군자가 지닌다하여 대나무를 군자라 하고, 연꽃과 국화를 또한 군자의 꽃이라고 함.
도덕군자(道德君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도를 닦아 덕이 매우 높은 사람.
도덕군자(道德君子)[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학군자(道學君子)와 같은 말로 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도덕군자(道德君子)[경화가(警和歌) 3 페이지 / 전적]
군자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많이 써 온 말임. 이는 학식과 덕이 높고 행실이 어진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여겼음.『동경대전(東經大全)』「포덕문(布德文)」에서도 “경천명이 순천리자(敬天命而順天理者) 즉, 하늘의 명을 공경하고 하늘의 이치에 순히 따르는 사람”을 군자라고 말하고 있음. 또 동양화에서 대나무의 고결함과 청결함을 군자가 지닌다하여 대나무를 군자라 하고, 연꽃과 국화를 역시 군자의 꽃이라고도 하여, ‘매화 ․ 난초 ․ 국화 ․ 대나무를 사군자(四君子)라 일컬음. 또한 동경대전』의 “녹죽지록록예 위군자지비속(綠竹之綠綠兮 爲君子之非俗) 즉, 푸른대의 푸르고 푸름이여 군자의 속되지 않음이 된 것이구나.”라는 글도 강직하고 세속에 물들지 않는 군자를 대나무에 비유하고 있음.
도덕군자(道德君子)[경화가(警和歌) 18 페이지 / 전적]
군자는 중국 주(周)나라 때부터 많이 써 온 말로써, 학식과 덕이 높고 행실이 어진 가장 이상적인 인간상으로 여겼음. 동양화에서 대나무의 고결함과 청결함을 군자가 지닌다하여 대나무를 군자라 하고, 연꽃과 국화를 또한 군자의 꽃이라고 함.
도덕군자(道德君子)[개명공산가(開明共産歌) 20 페이지 / 전적]
도를 닦아 덕이 매우 높은 사람.
도덕군자(道德君子)[효행가(효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도학군자(道學君子)와 같은 말로 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도덕군자(道德君子)[자연천의설(自然天意說) 8 페이지 / 전적]
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도덕군자(道德君子)[청림도사궁을전(靑林道士弓乙傳) 2 페이지 / 전적]
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도덕문(道德門)[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경주 현곡 동학의 발산지인 용담정을 들어가는 입구에 서 있는 문. 동학의 가르침을 말함.
도덕문(道德門)[경화가(警和歌) 38 페이지 / 전적]
경주 현곡 동학의 발산지인 용담정을 들어가는 입구에 서 있는 문. 동학의 가르침을 말함.
도덕설시이가지서이문(道德說詩而歌之書而文)[막소가(莫笑歌) 6 페이지 / 전적]
도덕을 이야기하는 시, 노래의 책과 문장.
도덕시서(道德詩書)[막소가(莫笑歌) 12 페이지 / 전적]
도덕적인 시와 글씨.
도덕연행(道德練行)[후원초당 봄이듯이 9 페이지 / 두루마리]
도와 덕을 닦음.
도덕이 관천(貫天)하여[오륜가라 4 페이지 / 전적]
도덕이 하늘을 찌를 듯 높음.
도덕이 관천(貫天)하여[오륜가라 4 페이지 / 전적]
도덕이 하늘을 찌를 듯 높음.
도도[동상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돋우어의 옛말.
도도(滔滔)[초당춘수곡 10 페이지 / 전적]
거침없이 물이 질펀하게 흐르는 모양, 물 흐르듯 말을 거침없이 잘 함.
도도(滔滔)[권왕가 38 페이지 / 전적]
물이 그득 퍼져 흘러가는 모양이 막힘이 없고 기운참.
도도(滔滔)[환행가 29 페이지 / 두루마리]
감흥(感興) 따위가 북받쳐 누를 길이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