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불습유(道不拾遺)[거창가라 9 페이지 / 전적]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도불습유(道不拾遺)[아림가(娥林歌) 9 페이지 / 전적]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도불심유(道佛尋儒)[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도교와 불교에서 유교를 찾음.

도불심유(道佛尋儒)[조심가라 15 페이지 / 전적]

도교와 불교에서 유교를 찾음.

도불십유(道不拾遺)[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인심이 좋아 길에 흘린 물건도 주워가지 않음.

도불십유(道不拾遺)[거창가 2 페이지 / 전적]

인심이 좋아 길에 흘린 물건도 주워가지 않음.

도비(都鄙)[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서울과 시골을 아울러 이르는 말.

도비(都鄙)[고분가 3 페이지 / 전적]

서울과 시골을 아울러 이르는 말.

도사[팔역가(八域歌) 19 페이지 / 전적]

단종을 모시고 영월로 왔던 왕방연

도사(刀砂)[평지행룡(平地行龍) 2 페이지 / 전적]

칼 모양의 바위.

도사(刀砂)[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2 페이지 / 전적]

칼 모양의 바위.

도사(導師)[권왕가 13 페이지 / 전적]

부처 ․ 보살의 통칭.

도사(都事)[석천집(石川集二-三)2-3 24 페이지 / 전적]

조선 왕조 때에 감영(監營)의 종오품 벼슬. 감사의 다음가는 벼슬이다.

도사(陶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24 페이지 / 전적]

「陶梭」―陶侃은 晋人이요 字는 士行인데 鄱陽에 살았다. 少時에 雷澤에서 고기잡이를 하다가 하나의 북(梭)을 얻어 壁에 걸어 두었는데 어느날 천동하고 비가 쏟아지는 속에 龍으로 化하여 가버렸다 하였음. 後에 八州都督이 되었다.

도사공(都沙工)[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3 페이지 / 전적]

뱃사공의 우두머리.

도사공(都沙工)[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뱃사공의 우두머리.

도사공(都沙工)[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뱃사공의 우두머리.

도사공(都沙工)[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뱃사공의 우두머리.

도사공(都沙工)[한양가라 73 페이지 / 전적]

뱃사공의 우두머리.

도사문지 구절(悼斯文之 久絶)[황남별곡(黃南別曲) 8 페이지 / 전적]

그 문장이 영원히 끊어짐을 애도하는 것이요.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