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무(蹈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2 페이지 / 전적]

수무족도(手舞足蹈). 몹시 좋아서 날뛰는 모양.

도무(蹈舞)[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2 페이지 / 전적]

수무족도(手舞足蹈). 몹시 좋아서 날뛰는 모양.

도무(釖舞)[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4 페이지 / 전적]

칼춤.

도무기구(蹈舞器具)[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춤출 때 쓰는 기구.

도문(到門)[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5 페이지 / 전적]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오는 것을 말함.

도문(到門)[똥생연문가라(생연문가라) 8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서 집에 돌아오던 일.

도문(到門)[뎡슝샹회방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서 집에 돌아오던 일.

도문(到門)[쌍옥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서 집에 돌아오던 일.

도문(到門)[김씨효행가 22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서 집에 돌아오던 일.

도문(到門)[후임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紅牌)를 받아서 집에 돌아오던 일.

도문연(到門宴)[쌍옥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도문잔치. 과거에 급제한 사람이 고향집에 돌아와 친지들을 초청하여 베푸는 잔치. 문희연(聞喜宴).

도문체[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10 페이지 / 전적]

‘도문(到門)’은 과거에 급제하여 홍패를 타가지고 집으로 돌아옴. ‘체’는 잔치.

도방(到防)[송강집(松江集二)2 143 페이지 / 전적]

국방(國防)을 위해 나가는 장군에게 내는 세금.

도백(道伯)[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관찰사.

도백(道伯)[장씨부인역사라 10 페이지 / 전적]

관찰사.

도병겁(刀兵劫)[권왕가 48 페이지 / 전적]

도병재(刀兵災). 소삼재(小三災)의 하나. 병기(兵器)와 군사로 인해 사람이 죽는 재앙.

도복(道服)[복션화음이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도사(道士)가 입는 겉옷.

도봉(都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4 페이지 / 전적]

여러 물건을 한데 모아 봉함.

도부[백세보중(百世葆重 三)3 42 페이지 / 전적]

관찰사가 수령의 장보狀報에 대하여 답하는 공문.

도불습유(道不拾遺)[회과자책가(悔過自責歌) 6 페이지 / 전적]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말로 법이 잘 지켜져야 나라가 태평하다는 뜻이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