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도련[사친가2(思親歌(二)) 10 페이지 / 전적]

두루마기․저고리 자락의 끝 둘레.

도련[신힁가라 13 페이지 / 전적]

저고리나 두루마기 자락의 가장자리.

도령(道令)[허후전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총각을 대접하여 이르는 말.

도령(陶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29 페이지 / 전적]

「陶令秫」-陶潜이 처음 彭澤令이 되자 公田에다 모주리을 秫穀을 심게 하고서 하는 말이「내 노상 술에 취해 있으면 그 이상 만족이 없겠다」라 했음.

도령(陶令)[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32 페이지 / 전적]

「陶令淸霜」―陶淵明의 自祭文에「歲惟丁卯 律中無射 風氣蕭索草木黃落 陶子將辭逆旅之舘 永歸於本宅」이라 했고, 또「嚴霜九月中 送我出遠郊」라는 擬挽歌가 있음.

도령陶令[ 1 페이지 / ]

동진東晋의 도잠陶潛을 말하는데 그는 팽택彭澤의 령이 되었으나 오두미五斗米 때문에 소신을 굽힐 수 없다하고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 시주詩酒와 벗삼았는데[귀거래사]에 송국松菊에 대하여‘삼경취황三徑就荒 송국유존松菊猶存‘곧‘뜰 앞의 오솔길은 황폐해 가지만, 소나무와 국화는 그대로 있네‘란 구절이 있다.

도로여[청년남녀훈계가 5 페이지 / 전적]

도리어.

도로여[청년남녀훈계가 5 페이지 / 전적]

도리어.

도로혀[냥신낙사가(냥신낙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도리어.

도로혀[냥신낙사가(냥신낙가) 14 페이지 / 두루마리]

도리어.

도룡[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9 페이지 / 전적]

용을 잡는다는 말로 특별한 재주를 뜻함.《莊子 列禦寇》에 ‘주평만(朱泙漫)이 용잡는 기술을 지리익 (支離益)에게 배우면서 천금의 가산을 모두 소비하였다. 3년만에 기술이 이루어졌으나 쓸 곳이 없었다.‘ 하였음.

도륙(屠戮)[한양가라 61 페이지 / 전적]

사람이나 짐승을 함부로 참혹하게 마구 죽임.

도륙(屠戮)[옥산가라 22 페이지 / 전적]

사람이나 짐승을 함부로 참혹하게 마구 죽임.

도륙(屠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8 페이지 / 전적]

사람이나 동물을 무참하게 죽임.

도르여[앤여가(여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도리어.

도리[권션지로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집의 기둥과 기둥 위에 돌려 얹히는 나무. 도리 위에 서까래를 얹음

도리[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도리(桃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51 페이지 / 전적]

桃李歡」-新婚의 歡을 말함. 詩經 召南 何彼穠矣에「何彼穠矣 華如桃李 平王之孫 齊侯之子」라는 章이 있음.

도리(桃李)[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58 페이지 / 전적]

「桃李歡」―男女의 婚姻을 말함. 詩經召南 何彼穠矣에「何彼穠矣 華如桃李」라는 句가 있고 結縭는 豳風東山에 親結其縭 九十其儀」라는 句가 있는데 註에 「結縭는 結帨와 같은 말이다」라 하였음.

도리(桃李)[칠여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와 자두. 또는 그 꽃.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