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두립젹도[상사곡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두릅적도. ‘두릅’은 나물 이름. ‘적(炙)’은 어육을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을 하여 불에 구운 음식을 말한다.

두만강(豆滿江)[유소가 4 페이지 / 전적]

우리나라 동북부를 흐르는 강. 백두산에서 시작하여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두목(杜牧)[옥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자(字)는 목지(牧之), 호(號)는 번천(樊川)으로 이상은(李商隱)과 더불어 이두(李杜)로 불리는 중국 만당전기(晩唐前期)의 시인. 산문에도 뛰어났지만 시에 더 뛰어났으며, 근체시(近體詩)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함.

두목(杜牧)[쳥츈상심곡(쳥츈심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803~852)중국 당나라 말기의 시인. 자는 목지(牧之). 미남으로 유명.

두목수족(頭目手足)[권왕가 34 페이지 / 전적]

머리와 눈과 손과 발. 사대 색신(四大色身) : 사대삭신. 사대육신(四大六身)을 속되게 이른 말. 즉, 사대(四大)로 이루어진 두 팔, 두 다리, 머리, 몸뚱이라는 뜻으로, 온몸을 일컫는 말. 혈육 피골(血肉皮骨) : 피와 살과 살가죽과 뼈.

두목지(杜牧之)[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 당(唐)나라 말기의 시인 두목(杜牧)의 자가 목지(牧之), 호는 번 천(樊川). 시풍은 부드럽고 아름다우며, 특히 7언 절구에 뛰어났는데, 시성으로 알려진 두보(杜甫)에 대하여 소두(小杜)라고 일컬음.

두목지(杜牧之)[송강집(松江集二)2 93 페이지 / 전적]

당(唐)나라 사람인데 시를 잘하여 소두(小杜)라 칭함

두목지(杜牧之)[숙덕부인도덕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만당 때의 시인 이름은 두목(杜牧)이고 자는 목지(牧之)이다. <아방궁부(阿房宮賦)>가 유명하며 두보(杜甫)에 비해서 소두(小杜)라고 칭함.

두목지(杜牧之)[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4 페이지 / 전적]

풍채가 뛰어났다는 중국 당나라의 시인.

두목지(杜牧之)[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이상은(李商隱)과 더불어 이두(李杜)로 불리는 중국 만당전기(晩唐前期)의 시인인 두목(杜牧) 산문에도 뛰어났지만 시에 더 뛰어났으며, 근체시(近體詩)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함.만당시대의 시인에 어울리게 말의 수식에 능했으나, 내용을 보다 중시함.주요 작품에는 《아방궁의 부》,《강남춘(江南春)》등이 있음.

두목지(杜牧之)[죽엽가(쥭엽가) 3 페이지 / 전적]

두목(杜牧).중국 만당전기(晩唐前期)의 시인.

두목지(杜牧之)[춘몽가(츈몽가) 7 페이지 / 전적]

이상은(李商隱)과 더불어 이두(李杜)로 불리는 중국 만당전기(晩唐前期)의 시인인 두목(杜牧) 산문에도 뛰어났지만 시에 더 뛰어났으며, 근체시(近體詩) 특히 칠언절구(七言絶句)를 잘함.만당시대의 시인에 어울리게 말의 수식에 능했으나, 내용을 보다 중시함.주요 작품에는 《아방궁의 부》,《강남춘(江南春)》등이 있음.

두문동 칠십이현 절의가 송죽같다[자탄가 자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두문동은 개성 만수산에 있는 골짜기. 칠십이현은 조선 개국에 응하지 않고 두문동에 은거한 72명의 충신들을 총칭함.

두문동(杜門洞)[팔도안희가 7 페이지 / 전적]

지금의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光德面) 광덕산(光德山) 서쪽에 고려왕조의 충신들이 모여 살던 곳으로 이곳에서 조선 건국을 반대하여 은거한 곳으로 유명하다.

두문동(杜門洞)[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것에 반대한 고려 유신이 모여 살던 곳.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있다.

두문동(杜門洞)[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것에 반대한 고려 유신이 모여 살던 곳.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있다.

두문동(杜門洞)[한흥가라 6 페이지 / 전적]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것에 반대한 고려 유신이 모여 살던 곳.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있다.

두문동(杜門洞)[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경기도 개풍군 광덕산 두문동.

두문동(杜門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72 페이지 / 전적]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한 것에 반대한 고려 유신이 모여 살던 곳. 경기도 개풍군 광덕면 광덕산 서쪽 기슭에 있다.

두문불출[은삭가 14 페이지 / 전적]

집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집에서 은거하면서 관직에 나가지 아니하거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