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두자미(杜子美)[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 성당시대(盛唐時代)의 시인 두보(杜甫)의 이칭.자는 자미(子美).호는 소릉(少陵).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컬음.

두자미(杜子美)[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동정호에 뜬 가을 달.소상팔경도의 6번째 그림제목.

두자미(杜子美)[거창가라 16 페이지 / 전적]

두보(杜甫).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 770).자는 자미(子美).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다.'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두자미(杜子美)[아림가(娥林歌) 16 페이지 / 전적]

두보(杜甫).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712~ 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다. '시성(詩聖)'으로 불리며,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힌다. 작품에 <북정(北征)>, <병거행(兵車行)> 따위가 있다.

두자미(杜子美)[춘몽가(츈몽가) 8 페이지 / 전적]

중국 성당시대(盛唐時代)의 시인 두보(杜甫)의 이칭.자는 자미(子美).호는 소릉(少陵).중국 최고의 시인으로서 시성(詩聖)이라 불렸으며, 또 이백(李白)과 병칭하여 이두(李杜)라고 일컬음.

두자미(杜子美)[춘몽가(츈몽가) 30 페이지 / 전적]

두보(杜甫).성당(盛唐) 때 시인(詩人).시성(詩聖)이라고도 함.자미(子美)는 그의 자(字)

두자미(杜子美)[별한가 36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 때의 시인 두보(杜甫, 712~770).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少陵)ㆍ공부(工部)ㆍ노두(老杜). 율시에 뛰어났으며,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 사실적 묘사 수법 따위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하였음. 이백(李白)과 함께 중국의 최고 시인으로 꼽힘.

두잠밧기와[복션화음록 20 페이지 / 전적]

장난스런 놀이로 이해되나 미상이다. ‘두자’는 주사위라는 뜻이고, ‘오자미’는 공기놀이의 뜻이니 그런 정도의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두적 산문(杜跡山門)[권왕가 57 페이지 / 전적]

자취를 감추고 절에 들어 출입이 없이 지냄.

두주斗酒[ 1 페이지 / ]

말 술.

두죽(豆鬻)[백발가 12 페이지 / 전적]

팥죽.

두중(頭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가 무거울만큼 중요함.

두중(頭重)[삼형제 원별곡(삼형뎨 원별곡) 5 페이지 / 두루마리]

머리가 무거울만큼 중요함.

두중(頭重)[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두중각경(頭重脚輕)의 약어. 정신이 아찔하고 다리에 힘이 없어 쓰러짐.

두지(斗庋)[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뒤주. ‘뒤주’를 한자를 빌려서 쓴 말임. 뒤주는 쌀 따위의 곡식을 담아 두는 세간의 하나. 나무로 궤짝같이 만드는데, 네 기둥과 짧은 발이 있으며 뚜껑의 절반 앞쪽이 문이 됨.

두지(斗庋)[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뒤주. ‘뒤주’를 한자를 빌려서 쓴 말임. 뒤주는 쌀 따위의 곡식을 담아 두는 세간의 하나. 나무로 궤짝같이 만드는데, 네 기둥과 짧은 발이 있으며 뚜껑의 절반 앞쪽이 문이 됨.

두처 아황여영[역대가라(역가라) 5 페이지 / 전적]

두 처녀 아황(娥皇) 여영(女英). 요 임금의 두 딸 언니 아황, 동생 여영을 말함.

두천족지[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머리는 하늘로 향하고 발은 땅을 딛는다는 뜻.

두천족지[은삭가 10 페이지 / 전적]

머리는 하늘로 향하고 발은 땅을 딛는다는 뜻.

두천족지(頭天足地)[청년남녀훈계가 6 페이지 / 전적]

머리는 하늘로 향하고 발은 땅을 딛는다는 뜻.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