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득도흥성(得道興盛)[금강산유람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오묘한 이치나 도를 깨닫고, (도가) 번성함.

득병(得病)[과부가(寡婦歌) 2 페이지 / 전적]

병을 얻는 것.

득병(得病)[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18 페이지 / 전적]

병을 얻음.병에 걸림.

득병(得病)[연행별곡(연별곡) 8 페이지 / 전적]

병을 얻음.병에 걸림.

득수(得水)[그리져리구경하고 5 페이지 / 전적]

묘지에서 보아 산 속에서 나와 산 속으로 흐르는 물의 처음 보이는 지점.

득수(得水)[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4 페이지 / 전적]

혈에서 보아 혈 앞으로 흐르는 물이 처음 시작되는 곳이나 물줄기를 말한다.

득수궁[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81 페이지 / 전적]

덕수궁(德壽宮)을 잘못 쓴 것임.

득수득파(得水得破)[옥설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산속에서 나와 산속으로 흐르는 물. 풍수가들의 말로, 묘지에서 보아서 처음에 보이는 물을 득수라 하고, 나중에 보이는 것을 파문이라고 함.

득수사법(得水砂法)[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는 내수(來水)라고도 하며, 혈(穴)에서 보아 혈앞에서 보아 흐르는 물이 시작되는 곳이나 물줄기를 말한다.

득수사법(得水砂法)[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는 내수(來水)라고도 하며, 혈(穴)에서 보아 혈앞에서 보아 흐르는 물이 시작되는 곳이나 물줄기를 말한다.

득수사법(得水砂法)[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득수(得水)는 내수(來水)라고도 하며, 혈(穴)에서 보아 혈앞에서 보아 흐르는 물이 시작되는 곳이나 물줄기를 말한다.

득수파구(得水破求)[유소가 9 페이지 / 전적]

강하게 물얻기를 바람.

득승(得勝)[유례가(幼禮歌) 8 페이지 / 전적]

싸움이나 경기 따위에서 승리를 얻음.

득승(得勝)[유덕가(幼德歌) 2 페이지 / 전적]

싸움이나 경기 따위에서 승리를 얻음.

득시(得時)[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7 페이지 / 전적]

좋은 시기를 얻는 것.

득인(得人)[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43 페이지 / 전적]

쓸만한 사람을 얻음.

득인심(得人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9 페이지 / 전적]

인심을 얻다.

득일는가[회초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득(得)이 되었는가.

득제(得題)[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 등에 자기에게 이로운 제사(題辭)를 받던 일.

득제(得題)[심심가(尋心歌) 2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소장(訴狀)이나 원서(願書) 등에 자기에게 이로운 제사(題辭)를 받던 일.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