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둥시러니[옥산가라 47 페이지 / 전적]
둥시렇게. ‘둥그스름하게(약간 둥글게)’의 옛말.
뒤높는듯[벽천가 19 페이지 / 전적]
뒤집히는 듯.
뒤뚝뒤뚝[회초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몸이 중심을 잃고 자꾸 이리저리 기울어지는 모양.
뒤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45 페이지 / 전적]
不刊」- 磨滅되지 않는다는 말임. 劉顏答楊雄書에「是縣誌日月不刊之書也」라 하였음.
뒤이우제[남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뒤의 이웃.
뒤이우제[남천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뒤의 이웃.
뒤채[신힁가라 4 페이지 / 전적]
가마나 상여 따위에 달린 채의 뒷부분.
뒤의 밧슬싸며[복션화음록 11 페이지 / 전적]
뒤 들의 밭을 사며.
뒷간에 버린 송장[녁대가(녁가) 37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 정치가 범수(范睢)를 가리킴. 원래 위나라 사람이었는데 제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오해를 받아 재상 위제(魏齊)에 의해 죽을 위기에 처했음. 심한 고문을 당한 범수가 죽은 척을 하자 위제는 그를 변소에 버리고 술에 취한 빈객들에게 소변을 보게 하였음. 살아난 범수는 진나라로 가고 소양왕의 신임을 얻어 훗날 복수함.
뒷걸음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56 페이지 / 전적]
「逡巡」―郤退의 뜻인데 뒷걸음질하는 것을 말함. 莊子 田子方에 「登高山 履危石 臨百尺之淵 背浚巡 足二分垂在外」라 하였음.
뒷도[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윷짝 하나에 검은 표시를 하고, 뒷도가 나오면 한 자리 뒤로 물림.
뒷도[초원동낙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윷짝 하나에 검은 표시를 하고, 뒷도가 나오면 한 자리 뒤로 물림.
뒷든서름[위옥자회가라(위옥과회가라) 6 페이지 / 전적]
뛰따르는 서름.
뒷목 추기 뒷목[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3 페이지 / 전적]
뒷목을 추리기. 타작할 때에 벼를 되고 마당에 처진 찌꺼기 곡식.
뒹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57 페이지 / 전적]
「息偃」-休息貌임. 詩經 小雅 北山에 『或息偃在床 或不己乎行』이 있음.
듀렷졈도[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3 페이지 / 전적]
뚜렷한 점도.
듕류[ 1 페이지 / ]
중류 中流. 강이나 내의 중간.
드◆◆소[용문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들어보소.
드가는데[한양가라 47 페이지 / 전적]
들어가는데.
드난[효행록이라(효록이라) 8 페이지 / 전적]
임시로 남의 집 행랑에 붙어 지내며 그 집의 일을 도와주는 것을 말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