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미월(眉月)[리행소챙가 69 페이지 / 전적]

눈썹같이 생긴 초승달.

미유문자(未有文字)[막소가(莫笑歌) 17 페이지 / 전적]

문자가 없다.

미유문자(未有文字)[구궁환정구구가(九宮還定九九歌) 2 페이지 / 전적]

문자가 없다.

미음(米飮)[환무자탄가 21 페이지 / 전적]

입쌀이나 좁쌀에 물을 많이 넣고 푹 끓여 체에 밭친 음식.

미음완보(微吟緩步[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작은 소리로 읊으며 천천히 거닐다.

미음완보(微吟緩步[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작은 소리로 읊으며 천천히 거닐다.

미인[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1 페이지 / 전적]

「望美人」― 임금을 말한 것임. 詩經 邶風 簡兮에 「云誰之思 西方美人」이란 句가 있는데 그 註에 「美人은 임금을 이름이다」하였음.

미인(美人)[송강집(松江集二)2 82 페이지 / 전적]

굴원(屈原)의 초소(楚騷)의 미인(美人) 향초(香草)를 들어 임금에게 비하 였으므로 여기도 임금을 비한 것임.

미인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38 페이지 / 전적]

「美人」―임금에게 비유하여 말한 것임.

미인초(美人蕉)[대동가(동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홍초(紅蕉)’를 일컫는 말로 파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파초(芭蕉)와 비슷하다.

미자(微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89 페이지 / 전적]

「微子」- 帝乙의 首子요 紂의 庶兄임 書經에 微子篇이 있음 微子, 箕子, 比干을 들어 三人이라 稱함.

미자(微子)[녁대가(녁가) 17 페이지 / 전적]

주왕(紂王)의 이복형으로 주왕(紂王)의 폭정(暴政)에 여러 차례 간언(諫言)을 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아우인 자연(子衍)과 함께 상(商)나라를 떠나 봉지(封地)인 미(微)로 돌아갔음. 비간(比干), 기자(箕子)와 함께 상(商) 말기의 세 명의 어진 사람[三仁]으로 꼽힘.

미정수[팔역가(八域歌) 8 페이지 / 전적]

약수

미주 가효(美酒佳肴)[권학가 5 페이지 / 전적]

맛이 좋은 술과 맛 좋은 안주.

미주가효(美酒佳酵)[조선충효가 17 페이지 / 두루마리]

맛과 향기가 좋은 술.

미지(未知)[혼례가(婚禮歌) 8 페이지 / 전적]

알지 못함.

미지(未知)[근혼가(謹婚歌) 2 페이지 / 전적]

알지 못함.

미지말고[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미루지 말고.

미지말고[경게가라 13 페이지 / 전적]

미루지 말고.

미진(未盡)[종매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다 하지 못하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