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민자건(閔子騫)[계녀사라 5 페이지 / 전적]
춘추(春秋) 때 사람으로, ‘자건’은 자(字)이며, 이름은 손(損). 단의순모(單衣順母)의 고사가 전함. 민자건이 계모의 박대로 갈대꽃으로 지은 옷을 입고 추운 겨울을 지내는 것을 알고, 그의 부친이 크게 화를 내며 계모를 쫓아내려 하자, 민자건이 남겨진 이복동생들의 안위를 들어 이를 진심으로 만류하므로 이에 감동한 계모가 민자건을 친자식처럼 사랑했다고 함.
민자건(閔子騫)[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민손(閔損), 자(字)가 자건(子騫).
민자건(閔子騫)[궁장가(宮牆歌) 5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민손(閔損), 자(字)가 자건(子騫).
민자건(閔子騫)[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계모가 민자건에게 갈꽃을 넣은 옷을 입히므로 아버지가 그 계모를 내쫓으려 하니 건이 말리며, “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없으면 세 아들(계모가 낳은 두 아들과 자신)이 외롭습니다”라고 하여 계모를 감화시켰다고 함.
민자건(閔子騫)[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효행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제자가 되었다.
민자건(閔子騫)[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1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계모가 민자건에게 갈꽃을 넣은 옷을 입히므로 아버지가 그 계모를 내쫓으려 하니 건이 말리며, “어머니가 있으면 한 아들이 춥고, 없으면 세 아들(계모가 낳은 두 아들과 자신)이 외롭습니다”라고 하여 계모를 감화시켰다고 함.
민자건(閔子騫)[효행가(효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춘추시대 노(魯)나라의 유학자로 공문십철의 한 사람으로, 효행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제자가 되었다.
민자건(閔子騫)[붕우츠회곡 3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민자건(閔子騫)[도덕구가 3 페이지 / 전적]
공자(孔子)의 제자 이름.
민자건(閔子騫)[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효행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제자가 되었다.
민자건(閔子騫)[낙수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노나라의 사람으로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으로, 효행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제자가 되었음.
민자건(閔子騫)[녁대가(녁가) 31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로 이름은 손(損), 자건은 자(字)임. 계모 밑에서 자랐으나 효자로 이름이 높았음.
민자건(閔子騫)[도덕가 3 페이지 / 전적]
중국 춘추시대 때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 사람.효행이 뛰어났으며 공자의 제자가 되었다.
민자건(閔子騫)[도덕가라 3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노나라 사람(?~?). 이름은 손(損). 자건(子騫)은 자(字). 공자의 제자. 孝로써 공문십철(孔門十哲)의 한사람으로 꼽힘.
민자건(閔子騫)의 단의순모(單衣順母)의 고사[효성가라 2 페이지 / 전적]
민자건은 춘추(春秋) 때 사람임. 추운 겨울에 민자건에게 갈대꽃을 넣은 옷을 입혀 박대한 계모를 부친이 쫓아내려 하자 남겨진 이복동생들의 안위를 들어 이를 진심으로 만류하므로, 이에 감동한 계모가 민자건을 친자식처럼 사랑했다고 함.
민자건(閔子騫)의 장한 효성(孝誠)[팔도안희가 16 페이지 / 전적]
민자건의 장한 효행을 말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민자건의 생모는 형제를 낳고 죽었다. 이에 그의 부친은 후처를 맞이하여, 아들 둘을 낳았다. 계모는 전처소생의 장남 민자건을 학대하여, 겨울에도 홑옷을 입혔다. 어느 겨울날, 민자건이 부친을 위해 수레를 몰고 가는데, 날씨가 추워 손이 얼어서 고삐를 떨어뜨렸다. 이때 부친은 민자건의 옷이 다 해지고 얇은 것을 보았다. 이에 집에 돌아와 나머지 아들을 살펴보니 모두 두텁고 따뜻한 솜옷을 입고
민장(民狀)[심심가(尋心歌) 3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백성의 송사ㆍ청원에 관한 서류.
민장(民狀)[심심가(尋心歌) 33 페이지 / 전적]
예전에, 백성의 송사ㆍ청원에 관한 서류.
민정(民情)[거창가라 19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의 사정과 생활 형편.
민정(民情)[아림가(娥林歌) 19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의 사정과 생활 형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