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민정(民情)[합강정가(合江亭歌) 5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의 사정과 생활 형편.
민제[팔역가(八域歌) 9 페이지 / 전적]
태종 이방원의 장인
민제(閔齊)[한양가라 10 페이지 / 전적]
원경왕후민씨(元敬王后閔氏)의 친정아버지.
민주스럽다[쳑사대희승부가(쳑사희승부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면괴스럽다. 남을 대하기에 부끄러운 데가 있다.
민중(閩中)[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20 페이지 / 전적]
「閩中」― 고을 이름인데 현재 福建省地를 말함.
민중왕(閔中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8 페이지 / 전적]
고구려의 제4대 왕(?~48). 이름은 해색주(解色朱). 제3대 대무신왕의 아우로, 대무신왕이 죽은 후 나이 어린 태자를 대신하여 즉위하였다.
민지(民志)[가사소리 6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뜻.
민지소원(民之所願)[정도선림하정씨가(正道仙林下鄭氏歌) 3 페이지 / 전적]
백성의 소원.
민지질고(民之疾苦)[출독진언(出毒嗔言) 4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병고(病苦).
민지질고(民之疾苦)[국명열록(國名列錄) 2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병고(病苦).
민지질고(民之疾苦)[고간지(古干支) 2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병고(病苦).
민지질고(民之疾苦)[민탄가(民歎歌) 2 페이지 / 전적]
백성의 병고(病苦).
민차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2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문신 민겸호(閔謙鎬, 1838~1882)를 잘못 쓴 것으로, 그는 민승호의 아우로 신식군대인 별기군을 창설하였으며, 선혜청 당상(堂上)에 올랐으나 임오군란 때 피살되었음.
민천(旻天)[충효가(忠孝歌) 11 페이지 / 전적]
아주 높은 하늘.
민첩(敏捷)[경영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재빠름.
민충정(閔忠正)[제면암최선생익현동업기비봉 3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문신 민영환(閔泳煥). 시호는 충정(忠正). 일본과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이를 반대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유서를 남기고 자결한 나라의 충신임.
민치록(閔致祿)[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명성왕후의 아버지(1799~1858)로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에 봉하였음.
민치록(閔致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2 페이지 / 전적]
명성황후의 아버지로 조선 제26대 고종의 장인이다. 본관은 여흥(驪興), 시호는 효정(孝貞)이다. 첨정(僉正)을 지냈다. 죽은 후 1866년(고종 3) 딸이 왕후로 책봉됨으로써 영의정 ·여성부원군(驪城府院君)에 추증되었다.
민치서(閔致舒)[아림가(娥林歌) 29 페이지 / 전적]
헌종 4년(1838)~8년(1842) 안의(安義) 수령으로 재임하다가 수의계파(繡衣啓罷) 된 인물임.
민태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2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문신 민승호(閔升鎬, 1830~1874)를 잘못 쓴 것으로 명성왕후의 오빠로 벼슬이 병조 판서에 이르렀음. 대원군이 실각한 후 일시적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있다가 대원군이 선물을 가장하여 보낸 폭약으로 죽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