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민포(民砲)[경난가 12 페이지 / 전적]

백성들이 마을 단위로 들고일어나 서로 결속하여 군대의 편제를 갖추고 화포군(火砲軍)을 만들어 대비하였는데, 의병(義兵)과 유사하다.

민하백[한양가라 63 페이지 / 전적]

미상

민화(敏和)한[죄령열친가라(령열친가라) 26 페이지 / 전적]

영민하고 온화한.

민활(敏活)[경노의심곡 10 페이지 / 두루마리]

재빠르고 활발함.

믿지만은[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2 페이지 / 전적]

「屑屑」- 輕視하여 마음 쓰지 않는 것을 이름. 後漢書 馬援傳에「盡心納忠 不屑屑毀譽」라 하였음.

밀덕봉[팔역가(八域歌) 40 페이지 / 전적]

교룡산 봉우리

밀뜨릴제[소상팔경가 29 페이지 / 전적]

밀어뜨릴 제.

밀모(密謀)[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몰래 의논(議論)하여 일을 꾀함.

밀밀(密密)[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2 페이지 / 전적]

아주 빽빽하다는 뜻으로 여기서는 마음씀씀이가 깊다는 뜻.

밀밀(密密)[무제(양신택졍하여) 8 페이지 / 전적]

썩 빽빽함.

밀설(密說)[말이타국원별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은밀한 이야기.

밀성(密城)[의향소창가 9 페이지 / 전적]

현재의 밀양. 밀양박씨.

밀성(密城)[리행소챙가 4 페이지 / 전적]

현재의 밀양. 밀양박씨.

밀양다원 손병사[쳥츈상심곡(쳥츈심곡) 1 페이지 / 두루마리]

밀양시 산외면 다원에서 전해오는 고목신과 손상룡 병사의 이야기.

밀우(密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0 페이지 / 전적]

고구려 동천왕 때의 무장(武將)(?~?). 중국 위나라 장수 관구검(毌丘儉)이 침입하였을 때에, 죽령(竹嶺)에서 결사대를 조직하여 남옥저(南沃沮)로 피신하는 임금을 도와 후에 일등 공신이 되었다.

밀지(密旨)[자탄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남몰래 갖는 생각.

밀직사(密直使)[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1 페이지 / 전적]

고려 시대, 왕명의 출납(出納)과 궁궐의 경호 및 군사 기밀 따위에 관한 일을 맡아보던 관아이다. 충렬왕 1년(1275)에 추밀원을 고친 것으로, 공민왕 5년(1356)에는 다시 추밀원으로 바꾸었다가 뒤에 또 이 이름으로 고쳤다.

밀풍군(密豐君)[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2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의 장자인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증손. 이름 탄(坦). 1723년(경종 3) 사은사(謝恩使), 1726년(영조 2) 사은 겸 동지사(謝恩兼冬至使)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728년 소론의 이인좌(李麟佐)가 반란을 일으킬 때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는데, 난이 평정되자 자결하였다.

밉록[ 1 페이지 / ]

맵도록. ‘맵다‘는 신辛의 뜻이다.

밍자에[소동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맹자(孟子)의.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