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미진(迷津)[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에 상대하여, 번뇌에 얽매인 삼계(三界)를 이르는 말.

미진(迷津)[셩경가 6 페이지 / 전적]

깨달음의 세계인 피안(彼岸)에 상대하여, 번뇌에 얽매인 삼계(三界)를 이르는 말.

미진설화(未盡說話)[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못다한 이야기.

미진설화(未盡說話)[시집간부녀의내칙가사(시집간부녀의칙가사) 3 페이지 / 두루마리]

못다한 이야기.

미천왕(美川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1 페이지 / 전적]

고구려 제15대 왕(?~331). 이름은 우불(憂弗)ㆍ을불(乙弗)ㆍ을불리(乙弗利). 현도군(玄菟郡)을 공격하고 낙랑군을 점령하는 등 고구려의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웠다.

미추왕(味鄒王)[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6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제13대 왕(?~284). 김씨 왕가의 시조로, 농사를 장려하고 여러 차례에 걸친 백제의 침입을 물리쳤다.

미추홀(彌鄒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28 페이지 / 전적]

인천광역시 일대의 고구려 때 이름.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 유리(琉璃)를 태자로 삼자, 온조의 이복형 비류가 차지한 백제 초기의 도읍지이다.

미충(未充)[아림가(娥林歌) 33 페이지 / 전적]

차지 아니함.

미타 공덕(彌陀功德)[권왕가 57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의 공덕. 앞에 든 각주 161과 90 참조. 찬탄(讚嘆) : 칭찬하여 감탄하는 것.

미타 도량(彌陀道場)[권왕가 58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의 도량. 도량(道場) : 불도(佛道)를 닦는 장소. 또는, 불보살이 성도(成道)를 얻은 곳. 일반적으로 절의 경내를 가리킴.

미타 성상(彌陀聖上)[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을 높이어 이르는 말. 친견(親見) : 친람(親覽). 친히 보는 것.

미타 성존(彌陀聖尊)[권왕가 8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이 성스럽고 존엄함을 이르는 말. 미타(彌陀) : 아미타불의 준말. 안양교주(安養敎主). 대승불교에서 정토교(淨土敎)의 중 심을 이루는 부처. 자력으로 성불(成佛)할 수 없는 사람도 염불하면 그 구제력으로 극락에 갈 수 있다고 함.

미타 성존(彌陀聖尊)[권왕가 22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86 참조.

미타 양장(彌陀良匠)[권왕가 53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양공(良工).

미타 원력(彌陀願力)[권왕가 52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원력. 원력(願力) : 부처에게 빌어 원하는 바를 이루려는 염력(念力).

미타 정토(彌陀淨土)[권왕가 24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정토(淨土). 미타(彌陀) :아미타불(阿彌陀佛). 앞에 든 각주 86과 161 참조. 정토(淨土) : 앞에 든 각주 244 참조.

미타(彌陀)[권왕가 17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86 참조.

미타(彌陀)[권왕가 20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 앞에 든 각주 161 참조.

미타선(彌陀船)[권왕가 23 페이지 / 전적]

아미타불(阿彌陀佛)의 배.

미통어(未通語)[서양예수재자말삼(서양예수자말삼) 3 페이지 / 전적]

아직 통하지 않는 언어.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