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박절(迫切)하나[한흥가라 94 페이지 / 전적]
다급하나.
박제상(朴堤上)[무제(해동조선)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으로.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왕제(王弟) 복호(卜好)를 데려왔으며, 왜(倭)에 볼모로 간 왕제 미사흔(未斯欣)을 돌려보내고 자신은 체포되었는데, 왜의 협박과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충절을 지키다가 피살되었다. 부인은 그를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제상(朴堤上)[무제(해동조선) 1 페이지 / 두루마리]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으로.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왕제(王弟) 복호(卜好)를 데려왔으며, 왜(倭)에 볼모로 간 왕제 미사흔(未斯欣)을 돌려보내고 자신은 체포되었는데, 왜의 협박과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충절을 지키다가 피살되었다. 부인은 그를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제상(朴堤上)[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37 페이지 / 전적]
신라 눌지왕 때의 충신(?~?). 고구려에 볼모로 가 있던 왕제(王弟) 복호(卜好)를 데려왔으며, 왜(倭)에 볼모로 간 왕제 미사흔(未斯欣)을 돌려보내고 자신은 체포되었는데, 왜의 협박과 회유에도 굴하지 않고 충절을 지키다가 피살되었다. 부인은 그를 기다리다 망부석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박제순(朴齊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62 페이지 / 전적]
조선 고종 때의 문신(1858~1916). 호는 평재(平齋). 이완용 내각의 내무대신을 지내면서 을사조약에 서명하여 을사오적(乙巳五賊)의 한 사람으로 불린다. 1910년에는 한일 합병 조약에 서명하였다.
박주(薄酒)[시절가 22 페이지 / 전적]
맛이 좋지 못한 술. 남에게 대접하는 술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박주산채(薄酒山菜)[잣치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맛이 변변치 않은 술과 산나물.
박주산채(薄酒山菜)[잣치가 10 페이지 / 두루마리]
맛이 변변치 않은 술과 산나물.
박주일배(薄酒一杯)[소상팔경가 21 페이지 / 전적]
맞좋지 않는 술 한 잔.
박주일배(薄酒一杯)[벽천가 39 페이지 / 전적]
맛이 좋지 못한 술 한 잔.
박주일배(薄酒一杯)[헌수가라 3 페이지 / 두루마리]
맛이 변변치 못한 술.
박죽[나부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밥주걱.
박처(迫妻)[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16 페이지 / 전적]
부인을 박대하거나 쫓아냄.
박충간(朴忠侃)[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26 페이지 / 전적]
조선 중기의 문신. 정여립의 모반을 고변한 공을 세웠고 임진왜란 때 순검사로 성의 수축을 맡고 영 ·호남지방에 파견되어 군량미를 조달했으며 백성의 구호에 힘썼다.
박충원[석천집(石川集二-五)2-5 75 페이지 / 전적]
자는 중초요 호는 낙촌(駱村). 또는 정관재(靜觀齋) 시호는 문경(文景)이니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박충원[팔역가(八域歌) 19 페이지 / 전적]
영월 군수를 지낸 낙촌을 말함
박태기나무 꽃[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28 페이지 / 전적]
자형화(紫荊花). 형제가 극히 우애하여 재산을 나누지 않음을 이름.
박태기나무 꽃[자경별곡 11 페이지 / 전적]
자형화(紫荊花). 형제가 극히 우애하여 재산을 나누지 않음을 이름.
박태기나무 꽃[ 1 페이지 / ]
자형화(紫荊花). 형제가 극히 우애하여 재산을 나누지 않음을 이름.
박태기나무 꽃[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87 페이지 / 전적]
자형화(紫荊花). 형제가 극히 우애하여 재산을 나누지 않음을 이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