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반노(叛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六)6 138 페이지 / 전적]

「叛奴」-李施愛를 討伐하여 功을 세웠음. 叛奴는 施愛를 말함.

반달[숙덕부인도덕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반달 모양의 장식 노리개.

반당(伴倘)[팔도가 18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부리던 사환.

반당(伴倘)[팔도가 18 페이지 / 전적]

관아에서 부리던 사환.

반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81 페이지 / 전적]

신선이 먹는 복숭아.《漢武帝故事》에 ‘7월 7일에 서왕모(西王母)가 복숭아 7개를 가지고 내려와서 스스로 2개를 먹고 5개는 무제에게 주었다. 이에 무제가 그 씨를 심겠다고 하니, 서왕모가‘이 복숭아는 3천 년에 한 번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린다.‘고하였다.‘ 하였음.

반도 소임(蟠桃所任)[회심곡 13 페이지 / 두루마리]

반도회(蟠桃會)의 임무. ‘반도’는 삼천 년마다 열매가 열린다는 선도(仙桃)로서, 남의 장수를 축하하는 데에 쓰는 말이고, ‘반도회’는 음력 3월 3일로서, 서왕모(西王母)에게 올리는 제를 의미함.

반도(蟠桃)[녁대가(녁가) 45 페이지 / 전적]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에 있는 복숭아.

반도(蟠桃)춤[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7 페이지 / 전적]

반도는 3천년만에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도(仙桃)로서, 서왕모가 주인이며 이것을 먹으면 신선이 된다고 함. 반도춤은 새를 시켜 이 선도를 받치는 것을 형상화한 춤.

반도가 열매 맺음[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3 페이지 / 전적]

여기서는 포재가 있으면 언젠가 때가 온다는 뜻

반도소사(般桃小仕)[일회심곡(一回心曲) 6 페이지 / 전적]

‘반도(般桃)’는 ‘반도(蟠桃)’를 잘못 쓴 것으로,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에 있는 복숭아를 말하며, ‘소사(小仕)’는 ‘소임(所任)’을 잘못 쓴 것임.

반도소임(蟠桃所任)[천지지분이라(천디디분이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반도는 삼천 년마다 한 번씩 열매가 열린다는 선경의 복숭아를 말함..

반도연(蟠挑宴)[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삼천년에 한번 열린다는 선도(仙桃)를 가지고 서왕모가 여는 연회.

반도연(蟠挑宴)[서가여래가사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삼천년에 한번 열린다는 선도(仙桃)를 가지고 서왕모가 여는 연회.

반두영승(飯頭令僧)[초암가 3 페이지 / 전적]

절에서 대중이 먹을 밥이나 죽을 마련하는 소임을 맡은 우두머리 스님.

반등산(半登山)[그리져리구경하고 16 페이지 / 전적]

장성의 방등산(方等山)의 다른 표기인듯 함.

반룡(盘龍)[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4 페이지 / 전적]

용이 서려 있음.

반룡경(盤龍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6 페이지 / 전적]

盤龍鏡」― 唐 天寶中에 楊州에서 水心鏡을 진상하였는데 한面 이 淸瑩하여 눈에 빛나고 모두 盤龍이 있어 형세가 飛動하니 玄宗은 보고 이상히 여기자 進鏡官李守泰는 말하기를 「鑄鏡時에 老人이 나타나 自稱姓名은 龍護라 하는데 鬚髮이 晧白하고 눈섭은 드리워 어깨에까지 닿았고 白衣를 입었으며 小童이 있어 黑衣를 입었고 玄冥이라 하며 鏡所에 와서 鏡匠呂暉에게 하는 말이 「老人이 眞龍鏡을 만들줄 아니 너를 위해 만들겠다. 장차 帝의 뜻에 맞으리라」하며 드디어 玄冥과 함께 爐所에 들어가 문을 잠근 三日만에 문이 열렸는데 龍護와 玄冥은 보이

반룡경(盤龍鏡)[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7 페이지 / 전적]

盤龍鏡」― 唐 天寶中에 楊州에서 水心鏡을 진상하였는데 한面 이 淸瑩하여 눈에 빛나고 모두 盤龍이 있어 형세가 飛動하니 玄宗은 보고 이상히 여기자 進鏡官李守泰는 말하기를 「鑄鏡時에 老人이 나타나 自稱姓名은 龍護라 하는데 鬚髮이 晧白하고 눈섭은 드리워 어깨에까지 닿았고 白衣를 입었으며 小童이 있어 黑衣를 입었고 玄冥이라 하며 鏡所에 와서 鏡匠呂暉에게 하는 말이 「老人이 眞龍鏡을 만들줄 아니 너를 위해 만들겠다. 장차 帝의 뜻에 맞으리라」하며 드디어 玄冥과 함께 爐所에 들어가 문을 잠근 三日만에 문이 열렸는데 龍護와 玄冥은 보이

반룡부봉(攀龍附鳳)[춘산채지가(春山采之歌) 8 페이지 / 전적]

용을 끌어 잡고 봉왕에게 붙는다는 뜻으로, 세력(勢力) 있는 사람을 의지(依支)하여 붙좇음.

반륜(半輪)[견월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반달의 잘못된 표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