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박영효(朴泳孝)[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6 페이지 / 전적]

구한말의 친일 정치가(1861~1939). 자는 자순(子純). 호는 춘고(春皐)ㆍ현현거사(玄玄居士). 정치적 혁신을 부르짖어 김옥균 등과 개화당을 조직하여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사대당(事大黨)에 패하여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의 내무 대신, 이완용 내각의 궁내부 대신을 지냈다. 국권 강탈 후 일본으로부터 후작(侯爵)을 받고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었다.

박용(朴墉)[한흥가라 60 페이지 / 전적]

인성왕후(仁聖王后)의 부친. 금성부원군(金城府院君)으로 추증됨.

박용(朴墉)[한흥가라 60 페이지 / 전적]

인성왕후(仁聖王后)의 부친. 금성부원군(金城府院君)으로 추증됨.

박용(朴墉)[한흥가라 60 페이지 / 전적]

인성왕후(仁聖王后)의 부친. 금성부원군(金城府院君)으로 추증됨.

박용(朴墉)[한양가라 59 페이지 / 전적]

인성왕후박씨의 친정아버지.

박원종(朴元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5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무신. 선전내승(宣傳內乘), 동부승지, 중추부지사(中樞府知事) 등을 지냈다. 중종 옹립의 반정(反正)의 주도적 역할을 하여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었다.

박원종(朴元宗)[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7 페이지 / 전적]

조선 중종 때의 문신(1467~1510). 자는 백윤(伯胤). 연산군의 폭정에 유순정(柳順汀), 성희안(成希顔) 등의 훈구 세력과 함께 임금을 몰아내고 중종을 추대하였다.

박이다[사친가2(思親歌(二)) 11 페이지 / 전적]

발바닥 등에 굳은살이 생겨 없어지지 않다.

박이무[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25 페이지 / 전적]

장다리무. 씨를 받기 위해 장다리꽃이 피게 가꾼 무.

박인수(朴仁叟)[한흥가라 28 페이지 / 전적]

박팽년(朴彭年). 인수(仁叟)는 박팽년의 자(字).

박인수(朴仁叟)[한흥가라 28 페이지 / 전적]

박팽년(朴彭年). 인수(仁叟)는 박팽년의 자(字).

박인수(朴仁叟)[한흥가라 28 페이지 / 전적]

박팽년(朴彭年). 인수(仁叟)는 박팽년의 자(字).

박인수(朴仁叟)[한양가라 26 페이지 / 전적]

인수는 박팽년의 자(字).

박잔[북쳔가 21 페이지 / 두루마리]

혼인 때 신랑과 신부가 술을 주고받는 데 쓰던 잔.

박잔(盞)[팔도가 22 페이지 / 전적]

신랑신부가 술을 주고 받을 때 쓰는 잔.

박잔(盞)[팔도가 22 페이지 / 전적]

신랑신부가 술을 주고 받을 때 쓰는 잔.

박장대소(拍掌大笑)[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51 페이지 / 전적]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박절(迫切)[환무자탄가 35 페이지 / 전적]

인정이 없고 매몰스러움.

박절(迫切)[소상팔경가 22 페이지 / 전적]

인정이 없고 쌀쌀함.

박절(迫切)[별한가 12 페이지 / 전적]

인정이 없고 쌀쌀함. 또는 마음이 답답하고 고생스러움.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