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반심(叛心)[오륜가라 14 페이지 / 전적]

반의(叛意).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심(叛心)[오륜가라 39 페이지 / 전적]

반의(叛意).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심(叛心)[가사소리 14 페이지 / 전적]

반의(叛意).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심(叛心)[가사소리 39 페이지 / 전적]

반의(叛意).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심(叛心)[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심(叛心)[오륜가라 15 페이지 / 전적]

배반하려고 하는 마음.

반악(潘岳)[면앙집(俛仰集 一)1 66 페이지 / 전적]

潘岳:悲秋賦를 지었음

반야(半夜)[북쳔가 35 페이지 / 두루마리]

한밤 중.

반야검(般若劍) 반야(般若)[셔왕가 3 페이지 / 전적]

반야의 칼. 최고의 진리를 이해하는 지혜. 모든 사물의 본래의 양상을 이해하고, 불법의 진실된 모습 을 파악하는 지성의 작용.

반야경(般若經)[권왕가 55 페이지 / 전적]

반야바라밀(般若波羅密)을 설법한 여러 경전의 총칭. 반야(般若) : 최고의 진리를 이해하는 지혜. 모든 사물의 본래의 양상을 이해하고, 불법의 진실된 모습을 파악하는 지성의 작용.

반야봉(般若峯)[옥산가라 5 페이지 / 전적]

전라북도 남원시 산내면과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751미터.

반야산(蟠耶山)[상사진정몽가(相思陳情夢歌) 1 페이지 / 전적]

반야산(蟠耶山) : 蟠은 盤의 뜻이요, 耶는 뜻 없이 삽입된 어조사로서, 반산(盤山)을 가리킴. 이는 중국 하북성 계현(薊縣)에 있는 명산으로, 천하의 승지로 알려져 있다.

반야용선(般若龍船)[교몽가 4 페이지 / 전적]

반야(般若)는 대승 불교에서, 만물의 참다운 실상을 깨닫고 불법을 꿰뚫는 지혜. 온갖 분별과 망상에서 벗어나 존재의 참모습을 앎으로써 성불에 이르게 되는 마음의 작용을 이름. 용선(龍船)은 뱃머리에 용의 모형을 장식한 배. 8세기부터 10세기까지 유럽 서해안을 돌아다니던 해적선의 표지임.

반야종성(半夜鐘聲)[옥산가라 53 페이지 / 전적]

깊은 밤에 종소리.

반여름 동안[석천집(石川集二-二)2-2 13 페이지 / 전적]

반하(半夏)는 천남성과(天南星科)에 속한 약초인데, 끼무릇이라고 한다. 구근(球根)을 담(痰), 구토, 기침에 약으로 쓴다.

반역(反逆)[셔운가 11 페이지 / 전적]

배반(背反)하여 반역(叛逆)을 꾀함.

반역(反逆)[셔운가 11 페이지 / 전적]

배반(背反)하여 반역(叛逆)을 꾀함.

반역(反逆)[셔운가 11 페이지 / 전적]

배반(背反)하여 반역(叛逆)을 꾀함.

반역(反逆)[셔운가 11 페이지 / 전적]

배반(背反)하여 반역(叛逆)을 꾀함.

반역(反逆)[거취가(去取歌) 4 페이지 / 전적]

①나라와 겨레를 배반함.②통치자에게서 나라를 다스리는 권한을 빼앗으려고 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