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반공(半空)[선유가라 6 페이지 / 전적]

하늘.

반공의 잇난 듯[형제붕우소회가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공중에 피어난듯.

반공중(半空中)[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땅으로부터 그리 높지 아니한 허공.

반공중(半空中)[유경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땅으로부터 그리 높지 아니한 허공.

반공중(半空中)[가야희인곡 2 페이지 / 두루마리]

땅으로부터 그리 높지 아니한 허공.

반과산[석천집(石川集二-二)2-2 17 페이지 / 전적]

반과산은 원래 장안에 있는 산 이름인데, 이백이 두보가 힘들여 시 짓는 버릇을 놀리기 위해 <희증두보(戱贈杜甫)>라는 시 속에서 이 산의 이름을 가져다 썼다.

반관(反棺)[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1 페이지 / 전적]

관이 뒤집히다.

반관복시(反棺覆尸)[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30 페이지 / 전적]

관이 뒤집히고 시신이 엎어지게 된다.

반구일자(返柩日子)[곽씨세덕가문니라 4 페이지 / 두루마리]

객지에서 죽은 사람의 시체를 고향이나 제집으로 보내는 날짜.

반구저신(反求底身)[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도리어 몸을 낮춰서 구함.

반구저신(反求底身)[창덕가2 6 페이지 / 전적]

도리어 몸을 낮춰서 구함.

반궁(泮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9 페이지 / 전적]

「泮宮」- 大學錄을 말함. 詩經 魯頌 泮水에「思樂泮水 薄采其芹」에서 나온 말임. 그래서 芹宮이라 칭하기도 함.

반궁(泮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七)7 104 페이지 / 전적]

退溪年譜에 「癸巳년에 泮宮에서 노니는데 士習이 浮薄하여 사람이 비웃는 자가 많았으며 더불어 相從하는 이는 오직 金河西 한 사람일 따름이다」라 하였음.

반궁(泮宮)[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9 페이지 / 전적]

「泮宮」-成均館을 말함. 見上

반근(泮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05 페이지 / 전적]

「泮芹」-泮은 泮宮인데 즉 太學舘임. 詩經 魯頌 泮水에 『思樂泮水 薄采其芹』의 句가 있음. 그래서 芹宮이라고도 함.

반근착절(盤根錯節)[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8 페이지 / 전적]

서린 뿌리와 얼크러진 마디라는 뜻으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사건을 이르는 말.

반기(盤器) 기명(器皿)[ 1 페이지 / ]

밥을 담는 그릇. 또는 접시. 살림살이에 쓰는 온갖 그릇. 그릇붙이.

반기(盤器) 기명(器皿)[장연변씨세적(長淵邉氏世蹟) 96 페이지 / 전적]

밥을 담는 그릇. 또는 접시. 살림살이에 쓰는 온갖 그릇. 그릇붙이.

반긴정에[추월감 8 페이지 / 두루마리]

반기는 마음에.

반남(潘南)선조[자탄가 자탄이라 2 페이지 / 두루마리]

박상충(朴尙衷 : 1332-1375) : 자(字) 성부(誠夫) 호(號) 반남(潘南) 시호(諡號) 문정(文正). 반남박씨 판관공파 5세조. 나주목 반남현에서 출생하였다. 고려 공민왕(恭愍王) 계사(癸巳 1353)년 문과(文科)에 급제(及第). 관(官)은 봉순대부(奉順大夫) 판전교시사(判典校寺事) 우문관(右文館) 직제학(直提學) 예조정랑(禮曹正郞). 고려시대(高麗時代) 제례의식(祭禮儀式)을 성문화(成文化)시켜 의식절차(儀式節次)를 표준화(標準化) 하였으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