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박태보(朴泰輔)[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3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간관(諫官)(1654~1689)으로 인현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심한 고문을 받고 진도로 귀양 가던 도중에 죽었음.
박태보(朴泰輔)[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39 페이지 / 전적]
조선 숙종 때의 간관(諫官)(1654~1689). 자는 사원(士元). 호는 정재(定齋). 인현 왕후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심한 고문을 받고 진도로 귀양 가던 도중에 죽었다. 저서에 ≪정재집≫ 등이 있다.
박패소임[착현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미상
박팽년(朴彭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35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집현전 학자(1417~1456).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상왕(上王)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당했음.
박팽년(朴彭年)[한양가라 23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집현전 학자(1417~1456)로 사육신의 한 사람. 세조가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상왕(上王)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었다.
박팽년(朴彭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2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집현전 학자(1417~1456)로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이다.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상왕(上王)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었다.
박팽년(朴彭年)[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9 페이지 / 전적]
조선 세종 때의 집현전 학자(1417~1456). 자는 인수(仁叟). 호는 취금헌(醉琴軒). 사육신의 한 사람으로, 세조가 단종을 내쫓고 왕위를 빼앗자 상왕(上王)의 복위를 꾀하다 처형되었다.
박포(朴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81 페이지 / 전적]
조선 전기의 무신(?~1400). 무인정사 때에 이방원을 도와 공을 세웠으나 공적에 대한 대가가 박하자 불만을 품어 불평하다가 유배되었다. 그 후 이방원에게 원한을 품고 이방간을 충동질하여 군사를 일으켰다가 그 죄로 처형되었다.
박필몽(朴弼夢)[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1 페이지 / 전적]
조선 후기의 문신. 소론의 강경파로 부제학, 이조참판, 대사헌에 이르렀다. 경종 1년 왕세제(英祖)의 대리청정을 주장한 노론 4대신의 죄를 성토하여 신임사화를 유발했다. 이인좌의 난 때 반란군 진중으로 가던 도중 진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숨었다.
박한남(朴漢南)[한양가라 65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 문인 박숭원(朴崇元, 1532-1593)을 말하는 듯하며,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순국할 것을 맹세하고 선조를 호종해 보검을 하사받았고 한성부판윤으로 재임 중 의주에서 병사했다.
박혁(博奕)[지효가(知孝歌) 7 페이지 / 전적]
장기(將棋)와 바둑.
박혁거세(朴赫居世)[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7 페이지 / 전적]
신라의 시조(B.C.69~A.D.4). 왕호는 거서간(居西干). 13세에 왕위에 올라 재위 17년에 전국을 순시하여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였으며, 21년에는 수도를 금성(金城)이라고 하고 성을 쌓아 나라의 기틀을 닦았다.
박혁음주(博奕飮酒)[창덕가2 63 페이지 / 전적]
도박하고 술을 마심.
박혁음주(博奕飮酒)[창덕가2 64 페이지 / 전적]
도박하고 술을 마심.
박화숙[석천집(石川集二-五)2-5 9 페이지 / 전적]
박순(朴淳)의 자이니 호는 사암(思庵)이다
박환(剝換)하여[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10 페이지 / 전적]
한바퀴 돌아서 들어옴.
박회[노졍긔 26 페이지 / 전적]
바퀴의 옛말.
박회[노졍긔 26 페이지 / 전적]
바퀴의 옛말.
박효백[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72 페이지 / 전적]
퇴우당(退憂堂), 박승종(朴承宗)의 자로서 시호는 숙민공(肅敏公)임.
밖[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62 페이지 / 전적]
「外鑠」- 鑠은 불로써 金을 녹이는 이름으로 밖에서부터 안에 오는 것임.孟子 告子篇에 「仁義禮智 非由外鑠我也 我固有之也」라 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