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반사(反賜)[경명가(敬命歌) 4 페이지 / 전적]

되돌려 줌.

반사(班師)[송강집(松江集六)6 180 페이지 / 전적]

군사를 회군한다는 뜻. 書經 大禹謨篇에「班師振旅」

반사(班師)[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군사를 이끌고 돌아옴.

반사(班師)[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군사를 이끌고 돌아옴.

반사(班師)[한흥가라 74 페이지 / 전적]

군사를 이끌고 돌아옴.

반사(班師)[한양가라 73 페이지 / 전적]

군사를 이끌고 돌아오다.

반사령(班師令)[한양가라 78 페이지 / 전적]

군대를 되돌리라는 명령.

반사여생[경노의심곡 16 페이지 / 두루마리]

반쯤 지나온 인생.

반산낙월 누부지(伴山落月 淚不止)[백발가 5 페이지 / 전적]

산에 지는 달을 보면서 눈물이 멎지 않음.

반상[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격식을 갖추어 차린 밥상. 밥 ‧ 국 ‧ 김치 ‧ 장류 ‧ 조치류를 기본으로 하고, 숙채 ‧ 생채 ‧ 구이 ‧ 조림 ‧ 전 ‧ 마른찬 ‧ 회 따위의 반찬의 수효에 따라 3첩 ‧ 5첩 ‧ 7첩 ‧ 9첩 ‧ 12첩 반상의 구별이 있음. 왕의 수라상은 12첩이었음.

반상[경게가라 8 페이지 / 전적]

격식을 갖추어 차린 밥상. 밥 ‧ 국 ‧ 김치 ‧ 장류 ‧ 조치류를 기본으로 하고, 숙채 ‧ 생채 ‧ 구이 ‧ 조림 ‧ 전 ‧ 마른찬 ‧ 회 따위의 반찬의 수효에 따라 3첩 ‧ 5첩 ‧ 7첩 ‧ 9첩 ‧ 12첩 반상의 구별이 있음. 왕의 수라상은 12첩이었음.

반상(班常)[종매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양반과 상민.

반상(班常)[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70 페이지 / 전적]

양반과 상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반상(班常)[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46 페이지 / 전적]

양반과 상사람.

반상기(飯床器)[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사기나 놋쇠 따위로 만들며, 주발ㆍ대접ㆍ쟁반ㆍ탕기ㆍ조칫보ㆍ보시기ㆍ종지 따위를 기본으로 하고 쟁첩의 수에 따라 3첩ㆍ5첩ㆍ7첩ㆍ9첩 등으로 구별하고, 대접과 쟁반 외에는 모두 뚜껑이 있음.

반상기(飯床器)[경기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사기나 놋쇠 따위로 만들며, 주발ㆍ대접ㆍ쟁반ㆍ탕기ㆍ조칫보ㆍ보시기ㆍ종지 따위를 기본으로 하고 쟁첩의 수에 따라 3첩ㆍ5첩ㆍ7첩ㆍ9첩 등으로 구별하고, 대접과 쟁반 외에는 모두 뚜껑이 있음.

반상분간(班常分揀)[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93 페이지 / 전적]

양반과 상민을 서로 구별함.

반생반사(半生半死)[잣치가라(치라) 34 페이지 / 전적]

거의 죽게 되어 죽을지 살지 모를 지경에 이름.

반석(盤石)[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0 페이지 / 전적]

넓고 평평한 큰 돌.

반석(盤石)[만수가(만슈가) 15 페이지 / 두루마리]

넓고 평평한 큰 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