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규(佰揆)[송강집(松江集二)2 204 페이지 / 전적]

영의정을 이름.

백규가……조짐이로세[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76 페이지 / 전적]

백규(百揆)는 요순 시대에 모든 관리를 통솔했던 벼슬로서 요 임금 때에 순이 이 벼슬에 등용되었다. 도시를 이룬다는 말은 순 임금이 사는 마을이 삼년 만에 사람이 모여들어 도시가 되었다는 말.《書經 舜典》

백규지시(白圭之詩)[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44 페이지 / 전적]

언어의 경솔함을 경계한 시. “백규의 옥티는 갈아 씻어낼 수 있으나, 말의 티는 그렇게 할 수 없다”는 데서 연유하였다. 이로 인해 ‘말을 삼가야 함’을 비유하여 ‘백규(白圭)’라고도 이름.

백금(伯禽)[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49 페이지 / 전적]

「伯禽」- 사람 이름인데 周公의 아들임. 成王은 周公의 大勳勞를 생각하여 天子의 禮樂을 賜해서 周公을 제사하게 하였음.

백기(白棋)[옥단춘전이라 29 페이지 / 전적]

흰 바둑돌.

백기(白起)[녁대가(녁가) 37 페이지 / 전적]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나라의 명장(名將). 백기가 주변 나라들을 차례로 토벌해 명성이 높아지자, 당시 소양왕의 신임을 얻고 있던 범수(范睢)가 그를 두려워하여 중상모략 해서 왕으로 하여금 백기를 죽이게 했음.

백낙천(白樂天)[석촌별곡 4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시인 백거이(白居易). 낙처는 그의 자이다.

백낙천(白樂天)[옥셜화답 9 페이지 / 전적]

중국 당나라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 772~846)를 말하며, ‘낙천’은 그의 호임. 이백이 죽은 지 10년, 두보가 죽은 지 2년 후에 태어났으며, 같은 시대의 한유(韓愈)와 더불어 ‘이두한백(李杜韓白)’으로 병칭될 만큼 시로써 이름을 높였음.

백낙천(白樂天)[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백거이(白居易)의 성(姓)과 자(字)를 함께 이르는 이름. 현실성이 강하면서 평이한 표현으로 시를 쓰기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대중적 작품인「장한가(長恨歌)」와「비파행(琵琶行)」등은 문사와 서민들 사이에 널리 애송(愛誦)되었음.

백낙천(白樂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의 시인(772~846)으로 이름은 백거이(白居易),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일상적인 언어 구사와 풍자에 뛰어났다.

백낙천(白樂天)[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의 시인으로 일상적인 언어 구사와 풍자에 뛰어났다.

백낙천(白樂天)[견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백거이(白居易, 772-846) 자(字)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당나라 때 낙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그의 시는 경쾌하지는 않고, 구세제민을 주제로 삼아 약간 무겁다.

백낙천(白樂天)[몽유가(몽류가) 3 페이지 / 전적]

백거이(白居易)의 성(姓)과 자(字)를 함께 이르는 이름. 현실성이 강하면서 평이한 표현으로 시를 쓰기로 유명하였으며, 그의 대중적 작품인「장한가(長恨歌)」와「비파행(琵琶行)」등은 문사와 서민들 사이에 널리 애송(愛誦)되었음.

백낙천(白樂天)[견월가 1 페이지 / 두루마리]

백거이(白居易, 772-846) 자(字)는 낙천(樂天),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이다. 당나라 때 낙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났다. 그의 시는 경쾌하지는 않고, 구세제민을 주제로 삼아 약간 무겁다.

백낙천(白樂天)[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의 시인(772~846)으로 이름은 백거이(白居易), 호는 향산거사(香山居士)·취음선생(醉吟先生)이다. 일상적인 언어 구사와 풍자에 뛰어났다.

백낙천(白樂天)[무제(▩▩▩▩) 2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당나라의 시인으로 일상적인 언어 구사와 풍자에 뛰어났다.

백낙천(白樂天)[옥설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백거이의 성(姓)과 자(字)를 함께 이르는 이름. 중국 중당기(中唐期)의 시인으로 주요 작품으로 <장한가(長恨歌)>, <비파행(琵琶行)> 등이 있음.

백낙천(白樂天)[춘몽가(츈몽가) 38 페이지 / 전적]

중국 중당기(中唐期)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움.당나라 때 뤄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남.그의 시는 경쾌하지는 않고, 구세제민을 주제로 삼아 약간 무거운 느낌임.

백낙천(白樂天)[춘몽가(츈몽가) 38 페이지 / 전적]

중국 중당기(中唐期)의 시인인 백거이(白居易).자(字)는 낙천(樂天)이고, 호는 취음선생(醉吟先生), 향산거사(香山居士) 등으로 불리움.당나라 때 뤄양(洛陽) 부근의 신정(新鄭)에서 태어남.그의 시는 경쾌하지는 않고, 구세제민을 주제로 삼아 약간 무거운 느낌임.

백낙천(白樂天)[사친가1(思親歌(一))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시인 백거이(白居易)를 그의 자로 이르는 호칭. 백거이(白居易) : 중국 당(唐)나라의 시인. 그의 자는 낙천(樂天), 호는 시주(詩酒)를 즐기며 자칭 취음선생(醉吟先生)이라 하고, 또는 향산(香山)의 스님과 향화사(香火社)의 인연을 맺고 스스로 향산거사(香山居士)라고 함, 그는 통속적인 언어 구사와 풍자에 뛰어나며, 평이하고 유려한 시풍은 원진(元稹)과 함께 원백체(元白體)로 통칭됨.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