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주대적(白晝大賊)[흥비가 5 페이지 / 전적]
대낮에 날뛰는 큰 도적.
백주대적(白晝大賊)[흥비가 7 페이지 / 전적]
대낮에 도적질하는 간 큰 사람.
백주시(栢舟詩)[쳥츈상심곡(쳥츈심곡) 9 페이지 / 두루마리]
시경 용풍 백주장이 위공강이 맹세한 시.
백주행사(白晝行祀)[아림가(娥林歌) 37 페이지 / 전적]
대낮에 제사를 지냄.
백주향화(白酒香花)[북쳔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흰빛깔의 술과 향기로운 꽃.
백중(百中)[자탄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음력 칠월 보름으로 백중절(百中節). 승려들이 재(齊)를 설(設)하여 부처를 공양하는 날로.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나 고려 때에는 이날 일반인까지 참석하여 우란분회를 열었으나 조선 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이루어졌음. 근래 민간에서는 여러 과실과 음식을 마련함.
백중(百中)날[답선유가라(답션뉴가리) 5 페이지 / 전적]
승려들이 재(齋)를 설(設)하여 부처를 공양하는 날.불교가 융성했던 신라나 고려 때에는 이날 일반인까지 참석하여 우란분회를 열었으나 조선시대 이후로 사찰에서만 행함.근래 민간에서는 여러 과실과 음식을 마련하여 먹고 놂.
백중복[화전가1 15 페이지 / 전적]
??
백중복[화전가2 15 페이지 / 전적]
??
백집사(百執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온갖 일을 맡아 처리함.
백집사(百執事)[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11 페이지 / 전적]
온갖 일을 맡아 처리함.
백집사(百執事)[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온갖 일.
백집사(百執事)[헌수가라 5 페이지 / 두루마리]
온갖 일.
백차일(白遮日)[해동졍상국회방연(동졍상국회방연) 6 페이지 / 전적]
흰색 차일. 차일은 해를 가리기 위해 치는 포장.
백차일(白遮日)[자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햇볕을 가리려고 치는 하얀 빛깔의 포장.
백척간두(百尺竿頭)[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백척간두(百尺竿頭)[무제(▩▩▩▩) 8 페이지 / 두루마리]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몹시 어렵고 위태로운 지경을 이르는 말.
백척간두(百尺竿頭)[대동가(동가) 8 페이지 / 두루마리]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올라섰다는 뜻으로, 위태(危殆)로움이 극도(極度)에 달함.
백척루[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91 페이지 / 전적]
「百尺樓」― 三國志陣登傳에 『許氾曰 昔見元龍 元龍自上大床臥使客臥下床劉備曰 君求田問舍 言無可采 如小人欲臥百尺樓上臥君于地何但上 下床之間耶』라 하였음
백천 방편(百千方便)[권왕가 4 페이지 / 전적]
온갖 방편. 방편(方便) : 보살이 중생을 구제하기 위한 묘한 수단. 또는, 진실한 교법에 끌어넣기 위해 가설(假設)한 법문(法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