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운만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흰 구름이 땅에 많음.
백운심처유인가(白雲深處有人家)[옥산가라 46 페이지 / 전적]
흰구름이 피어오르는 곳에 인가가 있어 라는 뜻으로 두목(杜牧)의 산행(山行)의 한 구절.
백운심처유인가(白雲深處有人家)[용문가라 14 페이지 / 전적]
흰구름이 피어오르는 곳에 사람사는 집이 있음.
백운편(白雲篇)[송강집(松江集一)1 45 페이지 / 전적]
白雲篇 산림처사(山林處士)의 글을 말함. 杜甫의 詩에「晴窓點檢白雲篇」이 있음.
백유(伯兪)[효행록이라(효록이라) 12 페이지 / 전적]
전한(前漢) 때의 사람으로 효성이 지극하기로 소문이 났다.
백유(伯兪)[양친가(養親歌) 6 페이지 / 전적]
중국의 유명한 효자
백의(白衣)[츅친서라 12 페이지 / 전적]
흰옷을 뜻하며, 본래 모습을 뜻한다.
백의(白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150 페이지 / 전적]
「天上白衣」― 구름을 말함.杜甫時에 「夫上浮雲如白衣 乍須變改成蒼拘」라는 句가 있음.
백의(白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52 페이지 / 전적]
「白衣」― 使者를 말함. 續晋陽秋에 「陶潛이 九日에 술이 없어서 籬邊에 나가 悵望하고 있는데, 한참만에 白衣의 사람이 오는 것을 보았다. 바로 王弘이 술을 보낸 使者였다」라 했음.
백의(白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22 페이지 / 전적]
改成蒼狗』라는 句가 있으므로 世人이 白雲은 白衣, 黑雲 蒼狗라 쓰고 있음。
백의(白衣)[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82 페이지 / 전적]
「白衣」-偅僕의 衣임. 夜客叢書에『漢官吏着皁 其給使着白』이라 했음. 續晋陽秋에 『陶潛九日無酒 出籬邊悵望 久之見白衣人至 乃王弘送酒使也』라 하였음.
백의(白衣)[북쳔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베로 만든 옷. 벼슬없는 선비를 뜻함.
백의단충(白衣丹衷)[후원초당 봄이듯이 2 페이지 / 두루마리]
깨끗하고 정성어린 마음.
백이(伯夷)[자치가라 10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은(殷)나라 때 은인(隱人).
백이(伯夷)[거창가라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말에서 주나라 초기의 현인(?~?).이름은 윤(允).자는 공신(公信).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했을 때, 아우인 숙제(叔齊)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백이(伯夷)[아림가(娥林歌) 14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말에서 주나라 초기의 현인(?~?). 이름은 윤(允). 자는 공신(公信).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했을 때, 아우인 숙제(叔齊)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백이(伯夷) 숙제(叔弟)[지리산이수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서우양산에서 굶어 죽음.
백이(伯夷) 숙제(叔齊)[슈절자탄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의 처사들.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 백이가 맏이.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을 치려는 것을 두 형제가 만류하였으나, 무왕이 듣지 않자 함께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먹다가 굶어 죽음.
백이(伯夷) 숙제(叔齊)[슈절자탄가 5 페이지 / 전적]
중국 은(殷)의 처사들. 고죽군(孤竹君)의 두 아들. 백이가 맏이.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을 치려는 것을 두 형제가 만류하였으나, 무왕이 듣지 않자 함께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먹다가 굶어 죽음.
백이부모[남은곡 권지단이라 7 페이지 / 전적]
‘백리부미(百里負米)’로 생각됨. 백 리나 되는 먼 곳으로 쌀을 진다는 말로, 비록 가난하게 살지만 부모를 잘 봉양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