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요부[춘몽가(츈몽가) 10 페이지 / 전적]

백거이(白居易).중국 중당 기(中唐期)의 시인.작품 구성은 논리의 필연에 따르며, 주제는 보편적이어서 '유려 평이(流麗平易)'한 문학의 폭을 넓혀 당(唐) 일대(一代)를 통하여 두드러진 개성을 형성.주요 저서에는《장한가(長恨歌)》,《비파행(琵琶行)》등이 있음.

백용퇴(白龍堆)[북쳔가 13 페이지 / 두루마리]

총령(葱嶺) 근처에 있는 사막.

백우(白雨)[쟝한가 16 페이지 / 두루마리]

갑자기 세차가 쏟아지다가 오래지 않아 그치는 비.

백우선(白羽扇)[사친가1(思親歌(一)) 7 페이지 / 전적]

새의 흰 깃으로 만든 부채. 촉한의 제갈량이 위빈(渭濱)에서 사마의 (司馬懿)와 싸웠을 때에 이 백우선을 가지고 삼군을 지휘하였다 함.

백우선(白羽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3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들고 있었다는 하얀 새의 깃을 모아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3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들고 있었다는 하얀 새의 깃을 모아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13 페이지 / 전적]

제갈량이 들고 있었다는 하얀 새의 깃을 모아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회경가 3 페이지 / 전적]

새의 흰 깃으로 만든 부채, 제갈량이 전쟁터에서 지휘할 때 사용한 것으로 알려짐

백우선(白羽扇)[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얀 털로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들고 있었다는 하얀 새의 깃을 모아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월기달노래라(월기달노라) 6 페이지 / 두루마리]

하얀 털로 만든 부채.

백우선(白羽扇)[대명복수가(명복수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제갈량이 들고 있었다는 하얀 새의 깃을 모아 만든 부채.

백운(白雲)[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5 페이지 / 전적]

「白雲歸思」―父母를 思慕하는 데에 쓰는 것임。唐 狄仁傑의故事인데、上卷 孝賦註에 나타나 있음。

백운(白雲)[이화가젼 22 페이지 / 전적]

색깔이 흰 구름.

백운(白雲)[이화가젼 22 페이지 / 전적]

색깔이 흰 구름.

백운가(白雲歌)[창덕가2 26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문인인 이백(李白)이 지은 시.

백운가(白雲歌)[창덕가2 27 페이지 / 전적]

당나라 문인인 이백(李白)이 지은 시.

백운대(白雲臺)[시절가 7 페이지 / 전적]

북한산(北漢山)의 최고봉.

백운동[팔역가(八域歌) 20 페이지 / 전적]

주세붕이 최초로 서원을 세운 곳

백운만지[은삭가 7 페이지 / 전적]

흰 구름이 땅에 많음.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