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백이숙제(伯夷叔齊)[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 죽었다.
백이숙제(伯夷叔齊)[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 죽었다.
백이숙제(伯夷叔齊)[소상팔경가 10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고지식하고 변통성이 없거나 혼자서 청렴한 체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자치가 12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어부사 퇴계(어부퇴계 ) 8 페이지 / 전적]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중국 은(殷)나라 때의 처사(處士).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치려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고 함.
백이숙제(伯夷叔齊)[슈양가 2 페이지 / 전적]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중국 은(殷)나라 때의 처사(處士).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은나라를 치려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고 함.
백이숙제(伯夷叔齊)[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음.
백이숙제(伯夷叔齊)[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음.
백이숙제(伯夷叔齊)[타미계라(라미키라) 9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음.
백이숙제(伯夷叔齊)[퇴계 선생가라( 션가라) 1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음.
백이전[고봉선생문집 권일(高峰先生文集 券一) 143 페이지 / 전적]
백이(伯夷)의 전기를 말함. 여기서는 뜻대로 되지 않으면 백이와 같이 떠난다는 뜻으로 쓰였다
백인(百忍)[통륜가(通倫歌) 7 페이지 / 전적]
아무리 어렵고 거북한 일이 있더라도 늘 잘 참고 견디어 냄.
백인걸(白仁傑)[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09 페이지 / 전적]
조선 선조 때의 유학자(1497~1579).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 벼슬이 대사간ㆍ참찬에 이르렀으며, 동서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고 군비 강화를 강조하였다.
백인장(百人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백명 정도를 이끌 만한 장수. 별로 능력이 없는 장수.
백인장(百人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4 페이지 / 전적]
백명 정도를 이끌 만한 장수. 별로 능력이 없는 장수.
백인장(百人將)[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2 페이지 / 전적]
백명 정도를 이끌 만한 장수. 별로 능력이 없는 장수.
백일(白日)[추월감 7 페이지 / 두루마리]
구름이 끼지 않아 밝게 빛나는 해. 곧 근심걱정없는 상태.
백일(白日)[유회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환하게 밝은 낮.
백일(白日)이 무광(無光)이요[옥산가라 23 페이지 / 전적]
환히 밝은 대낮에 햇빛이 없음.
백일무광(百日無光)[한양가라 24 페이지 / 전적]
백일 동안 빛이 없을 정도로 암울한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