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백이사지(百爾思之)[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여러 가지로 생각함.

백이사지(百爾思之)[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여러 가지로 생각함.

백이사지(百爾思之)[한흥가라 39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여러 가지로 생각함.

백이사지(百爾思之)[한양가라 38 페이지 / 전적]

이리저리 여러 가지로 생각함.

백이숙제[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때의 처사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치려 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 함.

백이숙제[은삭가 9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때의 처사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치려 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 함.

백이숙제(伯夷叔弟)[잣치가라(치라) 9 페이지 / 전적]

은나라의 신하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고지식하고 변통성이 없거나 혼자서 청렴한 체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弟)[황남별곡(黃南別曲)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으로 고죽군의 아들들.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고사리를 캐어먹다가 굶어 죽음.

백이숙제(伯夷叔齊)[숙덕부인도덕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은(殷)나라의 처사로 형과 아우 사이. 주(周)의 무왕(武王)이 은을 치려하자 백이와 숙제는 이를 말리려다 듣지 않으므로 수양산(首陽山)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으며 살다가 죽었다고 함.

백이숙제(伯夷叔齊)[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63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오윤가 26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서 이르는 말로,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했을 때, 아우인 숙제(叔齊)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백이숙제(伯夷叔齊)[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은나라 때의 사람.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했을 때, 아우인 숙제(叔齊)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백이숙제(伯夷叔齊)[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때의 처사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로,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치려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 함.

백이숙제(伯夷叔齊)[몽유가(몽류가) 9 페이지 / 전적]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해방후환히락가(방후환히락가) 3 페이지 / 두루마리]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

백이숙제(伯夷叔齊)[무제(▩▩▩▩) 1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은나라 때의 사람.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의 주왕을 치려고 했을 때, 아우인 숙제(叔齊)와 함께 간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주나라가 천하를 통일하자 수양산으로 들어가 굶어 죽었다.

백이숙제(伯夷叔齊)[조심가라 25 페이지 / 전적]

중국 은나라 때의 처사인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로, 주(周)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치려는 것을 말려도 듣지 않자,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어 먹다가 죽었다 함.

백이숙제(伯夷叔齊)[한흥가라 34 페이지 / 전적]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성인(兄弟聖人).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 주왕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首陽山)에서 굶어 죽었다.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