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보배스런 곳에[석천집(石川集二-二)2-2 16 페이지 / 전적]

대본에는 지(地)자가 지(誌)자로 되어 있다. 절이 있는 곳을 보지(寶地)라고 한다.

보배운거[남자답가라(남답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배운 것.

보보(莆莆)[원유가(遠遊歌) 7 페이지 / 전적]

삽보(箑莆)의 잘못된 표기로 보이며, 요(堯)임금 때에 부엌에서 생겨났다는 상서로운 풀. 부채와 같이 얇고, 움직이면 바람이 일어 음식물이 쉬는 것을 막아 주었다 함.

보보전진(步步前進)[의향소창가 25 페이지 / 전적]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감.

보보전진(步步前進)[리행소챙가 15 페이지 / 전적]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감.

보보행진(步步行進)[제주여행가 11 페이지 / 두루마리]

한 걸음 한 걸음 발을 맞춰 나아감.

보보향풍(步步香風)[청춘사연가 9 페이지 / 두루마리]

걸음마다 향기로운 바람이 일어남.

보본주의(報本主義)[명륜가(明倫歌) 20 페이지 / 전적]

근본에 보답하는 주의.

보본추원(報本追遠)[백발가 12 페이지 / 전적]

근본을 잊지 않고 조상을 추모함.

보삭보삭[인일가라 10 페이지 / 전적]

살이 핏기가 없이 조금 부어오른 모양.

보살도(菩薩道)[권왕가 9 페이지 / 전적]

불과(佛果)를 구하는 보살이 닦는 길.

보살할매[당산조션가 6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나이든 여자 신도를 일컬음.

보살할미[어와따님요(어와님요) 3 페이지 / 전적]

불교에서 나이든 여신도. 혹은 불심이 돈독한 젊은 여신도.

보선[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0 페이지 / 전적]

‘버선’의 방언.

보선토수(補繕吐手)[여자석별가 4 페이지 / 전적]

토수는 '토시'의 잘못된 말로 한복에서 여름이나 겨울에 팔에 끼워 더위나 추위를 막는 복식으로. 토수를 깁고 고친다는 뜻.

보성(保誠)[츅친서라 8 페이지 / 전적]

진실로 살펴줌. 혹은 복숭아

보성(寶城)[호남가(湖南歌) 3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의 중남부에 자리잡은 한 군(君)으로 원래 복홀군(伏忽郡)이다. 신라 35대 경덕왕(景德王) 때 보성군(寶城郡)으로 고쳤으며, 1914년에는 장흥군(長興郡)의 회천(會泉)·웅치(熊峙) 두 면을 합쳤다. 율포(栗浦), 관방(關防), 검암(劍巖) 등의 명승고적이 있다.

보성(寶城)[백운처사경독가라(운처사경독가라) 4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보성(寶城)[호남가라 2 페이지 / 전적]

전라남도 남부에 위치한 군으로 녹차, 꼬막 등의 특산물로 유명하다.

보션깁기[셕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버선깊기. 버선 만들기.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