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병이지심(秉彛之心)[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1 페이지 / 전적]

떳떳하게 타고난 천성(天性). 병이지성(秉彛之性).

병이지심(秉彛之心)[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1 페이지 / 전적]

떳떳하게 타고난 천성(天性). 병이지성(秉彛之性).

병이지심(秉彛之心)[대명복수가(大明復讎歌) 21 페이지 / 전적]

떳떳하게 타고난 천성(天性). 병이지성(秉彛之性).

병이지심(秉彛之心)[대명복수가(명복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떳떳하게 타고난 천성(天性). 병이지성(秉彛之性).

병이지심(秉彛之心)[대명복수가(명복수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떳떳하게 타고난 천성(天性). 병이지성(秉彛之性).

병이판(兵吏判)[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24 페이지 / 전적]

병판과 이판.

병인년[팔역가(八域歌) 39 페이지 / 전적]

1626년

병인년(丙寅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53 페이지 / 전적]

서기 1866년.

병인년(丙寅年)[한양가라 57 페이지 / 전적]

서기 1506년.

병자[팔역가(八域歌) 29 페이지 / 전적]

병자호란

병자(丙子)。[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74 페이지 / 전적]

同丙子」―證憑이 없어 未詳함。

병자년[팔역가(八域歌) 49 페이지 / 전적]

1636년 병자호란

병자년(丙子年)[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43 페이지 / 전적]

병신년(丙申年)을 잘못 쓴 것으로 서기 1776년을 말함.

병자호란(丙子胡亂)[팔도안희가 8 페이지 / 전적]

1636년(인조 14) 12월부터 1637년 1월까지 청(淸)나라가 조선을 침략하여 일어난 전쟁이다. 청나라에서 군신(君臣) 관계를 요구한 것을 조선이 물리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략하였다. 이에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고 청나라에 대하여 신(臣)의 예를 행하기로 한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었다.

병자호란(丙子胡亂)[한양가권지해라(한양가권지라) 18 페이지 / 전적]

조선 인조 14년(1636)에 청나라가 침입한 난리. 청나라에서 군신(君臣) 관계를 요구한 것을 조선이 물리치자 청나라 태종이 20만 대군을 거느리고 침략하였으며, 인조는 삼전도에서 항복하고 청나라에 대하여 신(臣)의 예를 행하기로 한 굴욕적인 화약(和約)을 맺었음..

병작(竝作)[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2 페이지 / 전적]

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는 일.

병작(竝作/幷作)[김씨효행가 20 페이지 / 두루마리]

배메기. 지주가 소작인에게 소작료를 수확량의 절반으로 매기는 일.

병장(屛帳)[북쳔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병풍과 장막을 아울러 이르는 말.

병장屛障[ 1 페이지 / ]

보이지 않게 가리는 휘장, 또는 병풍

병정(丙丁)[일행마상가(一行馬上歌) 4 페이지 / 전적]

남쪽 방향.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