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병혈(㑂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병(㑂)은 병(丙)인 듯. 아울러 병방(丙方), 즉 남쪽방향의 혈(穴)의 뜻인 듯함.

병혈(㑂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5 페이지 / 전적]

병(㑂)은 병(丙)인 듯. 아울러 병방(丙方), 즉 남쪽방향의 혈(穴)의 뜻인 듯함.

병혈(㑂穴)[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3 페이지 / 전적]

병(㑂)은 병(丙)인 듯. 아울러 병방(丙方), 즉 남쪽방향의 혈(穴)의 뜻인 듯함.

병화불입(兵火不入)[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8 페이지 / 전적]

난리가 미치지 못한 곳.

병환(病患)[한양가라 52 페이지 / 전적]

‘병’의 높임말.

볓욕시켜[효부가 21 페이지 / 전적]

볓욕은 햇빛으로 목욕한다는 뜻으로 의복이나 천을 햇빛에 잘 말리는 일.

보가지[구쟉가 17 페이지 / 전적]

‘황복’의 방언.

보감(寶鑑)[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121 페이지 / 전적]

「寶鑑」- 明德, 寶鑑은 다 心을 말함. 마음은 능히 萬像을 燭熙하는 때문에 鑑에 비유한 것임.

보감(寶鑑)[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본보기가 될 만한 일이나 물건(物件). 본보기가 될 만한 것들을 적은 귀중(貴重)한 책(冊)

보감(寶鑑)[천군복위가(天君復位歌) 4 페이지 / 전적]

본보기가 될 만한 일이나 물건(物件). 본보기가 될 만한 것들을 적은 귀중(貴重)한 책(冊)

보개(保介)[민농가 4 페이지 / 두루마리]

중국 주나라 때에 농사를 장려하던 벼슬 이름.

보검(寶劍)[석천집(石川集二-四)2-4 14 페이지 / 전적]

原文의 『孟勞』는 春秋戰國 魯의 寶劍.

보경(寶鏡)[반졀퓨리 4 페이지 / 전적]

보배롭고 귀한 거울.

보고[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三)3 166 페이지 / 전적]

「睹聞」-中庸에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이란 대문이 있음.

보고서와[자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보고 싶어서.

보고져라[모여상사가라(모여사가라) 8 페이지 / 전적]

보고싶다.

보곤(補袞)[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五)5 106 페이지 / 전적]

「補袞」― 임금의 闕失을 補한다는 뜻임. 詩經 大雅烝 「民에 袞職有闕 維仲山甫補之」라는 句가 있음.

보국(輔國)[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4 페이지 / 전적]

충성을 다하여 나랏일을 돕는다는 뜻과 정일품 문무관 벼슬인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를 말함.

보국(輔國)[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조선 시대에 둔, 정일품 문무관의 벼슬.

보국(輔國)[한흥가라 5 페이지 / 전적]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조선 시대에 둔, 정일품 문무관의 벼슬.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