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보션토슈[셕별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버선토시. ‘토시’는 원래 ‘투수(套袖)’에서 온 말로 팔뚝에 끼워 추위를 막는 제구.
보수 보망(寶樹寶網)[권왕가 6 페이지 / 전적]
칠보수(七寶樹)의 칠중 나망(七重羅網). 보수(寶樹) : 앞에 든 각주 6과 38 참조. 보망(寶網) : 칠중 나망(七重羅網). 앞에 든 각주 47 참조.
보수(保殊)[경노의심곡 7 페이지 / 두루마리]
지킴.
보수(寶樹)[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57 페이지 / 전적]
「寶樹」-玉樹와 같은 말인데 子侄의 林美를 이름. 晋書謝玄傳에「譬如芝蘭玉樹 欲生其階庭耳」라 하였음. 王勃의 滕王閣序에「非謝家之寶樹 捼孟氏之芳鄰」의 句는 이를 두고 말한 것임.
보수음(寶樹陰)[권왕가 62 페이지 / 전적]
칠중보수(七重寶樹)의 그늘. 보수(寶樹) : 칠중보수(七重寶樹)의 준말. 극락에 있는, 일곱 줄로 벌여 선 보물 나무. 곧, 금 ․ 은 ․ 유리 ․ 산호 ․ 만호 ․ 파리 ․ 거거 등의 나무. 흘휴(吃虧) :감하게 함. 이지러지도록 함.
보시(布施)[권왕가 9 페이지 / 전적]
단시(檀施) ① 자비심으로 남에게 조건 없이 베푸는 것. ② 불공 불사(불 사)를 할 때에 신도들이 절에 올리는 돈이나 물품.
보시(布施)[권왕가 10 페이지 / 전적]
앞에 든 각주 100 참조.
보시거[용문가라 9 페이지 / 두루마리]
보십시오.
보신(保身)[본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보전(保全)함.
보신(保身)[본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보전(保全)함.
보신(保身)[본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보전(保全)함.
보신(保身)[본문가라 3 페이지 / 전적]
몸을 보전(保全)함.
보신미타(報身彌陀)[권왕가 16 페이지 / 전적]
공덕을 갖춘 아미타불(阿彌陀佛). 보신(報身) : 삼신(三身)의 하나. 공덕이 갖추어진 몸. 미타(彌陀) : 앞에 든 각주 86 참조.
보신보가(保身保家)[궁월가라 8 페이지 / 전적]
자신의 몸과 집을 온전히 지킴.
보신불(報身佛)[권왕가 19 페이지 / 전적]
삼신불(三身佛)의 하나. 보신으로서의 부처를 일컫는 말. 앞에 든 각주 203 참조.
보양(保養)[경노의심곡 8 페이지 / 두루마리]
잘 보호하여 기름.
보양(保養)하고[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잘 보호하여 기르고.
보양(保養)하고[경게가라 20 페이지 / 전적]
잘 보호하여 기르고.
보옥(寶玉)[황젼가 2 페이지 / 두루마리]
구슬이란 뜻으로, 귀하고 보배롭게 여기는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보외(補外)[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23 페이지 / 전적]
지위가 높은 벼슬아치를 징계하여 지방 수령으로 좌천시키던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