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복성공댁(復聖公宅)[도덕구가 4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안연(顔淵).
복성공택(復聖公宅)[권션지로가 6 페이지 / 두루마리]
안자(顔子)의 집
복성동반(福城東畔)[초암가 4 페이지 / 전적]
선재동자가 문수보살을 만난 곳.
복송나무[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四)4 125 페이지 / 전적]
「縣桃梗」-桃梗은 桃木으로 만든 장승임. 風俗通에 依하면 新年朔日에는 桃梗을 門上으로 달아 惡鬼를 막는다하였다. 戰國策에 「蘓泰說孟嘗君曰土偶人語桃梗 曰今子東國之桃木 削子爲人假以丹彩 用子以當門戶之厲」라 하였는데 厲는 惡鬼을 말한것임.
복수 생각만 할뿐이었다[백세보중(百世葆重 四)4 17 페이지 / 전적]
춘추시대 오나라왕 부차가 월나라왕 구천을 쳐서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매일 섶 속에 앉아서 신고를 하였으며, 월왕 구천은 오나라를 쳐서 회계의 치욕을 씻고자 쓰개를 핥으며 복수를 잊지 않았다는 고사.
복수(復讐)[경노의심곡 12 페이지 / 두루마리]
원수를 갚음.
복숭살구[자탄가 12 페이지 / 두루마리]
과일인 복숭아와 살구.
복심환정(復心還精)[막소가(莫笑歌) 7 페이지 / 전적]
마음을 되돌리고, 정(精)함(깨끗함)을 되돌리다.
복쑥머리[오윤가 23 페이지 / 전적]
벅수머리와 같은 뜻으로 보이며, 맨머리를 뜻함.
복약(服藥)[한양가라 55 페이지 / 전적]
약을 먹음. 복용(服用)과 같은 말.
복약(服藥)[시양병가(侍養病歌) 2 페이지 / 전적]
약을 먹음.내복약(內服藥).
복여계(伏如鷄)[이십사룡입수(二十四龍入首) 8 페이지 / 전적]
엎드린 모양이 닭 닮았다.
복여차(復如此)[구쟉가 11 페이지 / 전적]
또다시 이와 같다.
복역(卜役)[장씨부인역사라 5 페이지 / 전적]
나라에서 백성에게 책임 지우던 강제 노동이나 병역.
복역(卜役)[장씨부인역사라 5 페이지 / 전적]
나라에서 백성에게 책임 지우던 강제 노동이나 병역.
복역(覆逆)[송강집(松江集五)5 32 페이지 / 전적]
옥사를 반복 심의함
복왕(濮王),수왕(秀王)의 두 원묘(園廟)[ 1 페이지 / ]
복왕은 복안의왕(濮安懿王)의 준말로, 송 영종(宋英宗)의 생부인 조윤양(趙允讓)의 봉호(封號)이며, 수왕(秀王)은 수안희왕(秀安僖王)의 준말로 송 효종(宋孝宗)의 생부인 조칭(趙稱)의 봉호이다. 원묘는 제왕의 능(陵) 옆에 세우는 침묘(寢廟).
복왕(濮王),수왕(秀王)의 두 원묘(園廟)[고봉선생문집 권삼(高峰先生文集 券三) 135 페이지 / 전적]
복왕은 복안의왕(濮安懿王)의 준말로, 송 영종(宋英宗)의 생부인 조윤양(趙允讓)의 봉호(封號)이며, 수왕(秀王)은 수안희왕(秀安僖王)의 준말로 송 효종(宋孝宗)의 생부인 조칭(趙稱)의 봉호이다. 원묘는 제왕의 능(陵) 옆에 세우는 침묘(寢廟).
복원(伏願)[초씨션원쳥음가 7 페이지 / 전적]
웃어른에게 엎드려 공손히 원함.
복원복망(伏願伏忘)[한흥가라 71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엎드려 원하고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