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복비(腹誹)[송강집(松江集七)7 60 페이지 / 전적]
말로 하지 않고 배 속으로만 반대한다는 것. 史記 平潗書에「顔異當九卿見令不便不入言而腹誹論死自是之後有腹誹之法」
복사(服事)[경명가(敬命歌) 3 페이지 / 전적]
좇아서 섬김.
복사(覆沙)[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19 페이지 / 전적]
모래가 물에 몰려 논밭 같은 데에 덥혀 쌓임. 또는, 그 모래.
복사꽃[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二)2 34 페이지 / 전적]
「挑花源」 ― 武陵의 桃源을 말함. 晋 陶潛의 桃花源記가 있음.
복상[동상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복숭아(복사나무의 열매)’의 방언(강원, 경상, 충북, 함남).
복상(服喪)[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94 페이지 / 전적]
상중에 상복을 입음.
복색(服色)[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3 페이지 / 전적]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서 다르게 맞추어서 차려 입던 옷의 꾸밈새와 빛깔.
복색(服色)[효열전니라(孝烈傳니라) 19 페이지 / 전적]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서 다르게 맞추어서 차려 입던 옷의 꾸밈새와 빛깔.
복색(服色)[로인가 6 페이지 / 전적]
예전에, 신분이나 직업에 따라서 다르게 맞추어서 차려입던 옷의 꾸밈새와 빛깔.
복생(伏生)[하서선생집(河西先生集一)1 21 페이지 / 전적]
「伏生」- 漢나라 濟南人으로 이름은 勝인데, 泰의 시대에 일찌기 博士가 되었 다.文帝때에 尙書에 能한 자를 구했는데 伏生은 나이가 이미 九十餘歲이므로 龜錯를 시켜 가서 받아오게 하니 二十九篇을 외워서 전했다.지금 金文尙書가 이것이다.
복서(卜筮)[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50 페이지 / 전적]
①길흉(吉凶)을 알기 위(爲)하여 점(占)을 침 ②또는 그 점(占).
복선화음(福善禍淫)[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복선화음(福善禍淫)[헌수가라 1 페이지 / 두루마리]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복선화음(福善禍淫)[로인가 9 페이지 / 전적]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복선화음(福善禍淫)[여행록이라(여녹이라) 22 페이지 / 전적]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복선화음(福善禍淫)[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4 페이지 / 전적]
착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줌.
복선화음(福善禍淫) 인난쥴을[복션화음록 27 페이지 / 전적]
좋은 일을 하면 복을 받고 나쁜 일을 하면 화를 입는다는 말.
복성공(復聖公)[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안자(顔子). 이름은 회(回), 자(字)는 자연(子淵).
복성공(復聖公)[궁장가(宮牆歌) 7 페이지 / 전적]
공자의 제자 안자(顔子). 이름은 회(回), 자(字)는 자연(子淵).
복성공댁(復聖公宅)[붕우츠회곡 4 페이지 / 두루마리]
공자의 제자 안연(顔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