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
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복원복망(伏願伏忘)[한흥가라 71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엎드려 원하고 바람.
복원복망(伏願伏忘)[한흥가라 71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엎드려 원하고 바람.
복원복망(伏願伏望)[한양가라 70 페이지 / 전적]
웃어른께 엎드려 원하고 바람.
복위(復位)[한양가라 4 페이지 / 전적]
폐위되었던 제왕이나 후비(后妃)가 다시 자리에 오름.
복을 추구함[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33 페이지 / 전적]
복(福)을 빌며 재(齋)를 행하는 일로서 ‘수재(修齋)’의 뜻에서 이르는 말.
복응(服膺)[충효가(忠孝歌) 32 페이지 / 전적]
의복처럼 입고 받듦.
복자(卜者)[녁대가(녁가) 65 페이지 / 전적]
점쟁이.
복정(卜定)[론학가권지일 18 페이지 / 전적]
길흉을 점쳐서 정함.
복정(卜定)[론학가권지일 18 페이지 / 전적]
길흉을 점쳐서 정함.
복조(福祚)[창덕가2 58 페이지 / 전적]
복된 징조.
복조(福祚)[창덕가2 59 페이지 / 전적]
복된 징조.
복조부(鵩鳥賦)[석천집(石川集二-四)2-4 122 페이지 / 전적]
中國 前漢 時代의 賈誼가 長沙에 流配 가 있을 때 자신의 不遇함을 슬퍼하면서 지은 賦. <<文選>>제13권에 실려 있음.
복조지[상사곡가사(상곡가사) 3 페이지 / 전적]
복을 짓는.
복종 절사(覆宗絶祀)[삼강오륜자경곡(三綱五倫自警曲) 59 페이지 / 전적]
종족(宗族)을 망치고 선조의 제사 끊기는 일. 즉, 국가 혹은 자손이 멸망하는 것.
복종금성(伏鐘金星) 세웠으니[국사옥룡자유세비록(國師玉龍子遊世秘錄) 5 페이지 / 전적]
종을 엎어놓은 곳 같은 형세에 여러 신(神)들이 둘러선 것 같은 명당.
복종절부(覆宗絶副)[충효가(忠孝歌) 18 페이지 / 전적]
근본(위와 아래)을 뒤집고 서로 간에 도움이 끊어짐.
복주(福州)[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63 페이지 / 전적]
중국 푸저우.
복주병진(輻輳竝臻)[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레의 바퀴통에 바퀴살이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복주병진(輻輳竝臻)[헌수가라 7 페이지 / 두루마리]
수레의 바퀴통에 바퀴살이 모이듯 한다는 뜻으로, 한곳으로 많이 몰려듦을 이르는 말.
복중(腹中)[자치가라 12 페이지 / 두루마리]
뱃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