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 > 한국가사문학DB > 가사

용례풀이

search
전체
총 67,094개

복록(福祿)[창덕가2 44 페이지 / 전적]

복과 행복.

복록(福祿)[낙향이별가 3 페이지 / 전적]

타고난 복과 벼슬아치의 녹봉이란 뜻으로 복되고 영화로운 삶을 이른다.

복록(福祿)[태상감응편이라(상감응편이라) 9 페이지 / 전적]

타고난 복과 나라에서 주는 벼슬아치의 녹봉(祿俸).

복록(福祿)[합강정가(合江亭歌) 13 페이지 / 전적]

타고난 복과 나라에서 주는 벼슬아치의 녹봉(祿俸).

복록(福祿)[창덕가2 45 페이지 / 전적]

복과 행복.

복류洑流[ 1 페이지 / ]

물결이 빙빙 돌며 흐름

복마(僕馬)[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종과 말.

복마(僕馬)[팔도가 6 페이지 / 전적]

종과 말.

복마(僕馬)[북쳔가 7 페이지 / 두루마리]

종과 말.

복면(覆面)[무제(양신택졍하여) 7 페이지 / 전적]

남이 알아보지 못하게 헝겊 등(等)으로 얼굴을 싸서 가리는 것.

복명(復命)[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114 페이지 / 전적]

명령을 받고 일을 처리한 사람이 그 결과를 보고함.

복모(伏慕)[리행소챙가 87 페이지 / 전적]

웃어른을 공손히 사모함.

복발(復發)[말이타국원별가 5 페이지 / 두루마리]

근심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다시 일어남.

복발사(覄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바루를 엎어놓은 모양의 사(砂)의 형세. ‘복(覄)’은 ‘복(覆)’과 같은 한자.

복발사(覄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8 페이지 / 전적]

바루를 엎어놓은 모양의 사(砂)의 형세. ‘복(覄)’은 ‘복(覆)’과 같은 한자.

복발사(覄鉢砂)[안대수구사방군사법(案對水口四方群砂法) 6 페이지 / 전적]

바루를 엎어놓은 모양의 사(砂)의 형세. ‘복(覄)’은 ‘복(覆)’과 같은 한자.

복병술(伏兵術)[반만년한국가사(半萬年韓國歌史) 52 페이지 / 전적]

적을 기습하기 위하여 적이 지날 만한 길목에 군사를 숨기는 것, 또는 그 군사.

복복사죄(伏伏謝罪)[한흥가라 106 페이지 / 전적]

땅에 엎드려 사죄함.

복부(鵩賦)[송강집(松江集六)6 26 페이지 / 전적]

한(漢)나라 때의 가의(賈誼)가 장사(長沙)에서 귀양살이할 때 복조〔鵩〕울 음소리를 듣고 부(賦)를 지었음.

복분(覆盆)[송강집(松江集二)2 191 페이지 / 전적]

원통하고 억울함을 씻지 못하는 것이 마치 동이를 이면 하늘을 우러러 보지 못하므로 삼광(三光)의 빛을 보지 못하는 것과 같아서 임금의 은혜를 입지 못함에 비유함.「三光不照覆益之內」

저작권보호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담양군청 : (57339)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추성로 1371 / 대표전화 : 061-380-3114

한국가사문학관: (57392) 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가사문학로 877 / 대표전화 : 061-380-2700 팩스 : 061-380-3556

Copyright by Damyang-Gun. All Right Reserved.